[데스크시각] 1차대전 악령의 부활 막아야

입력 2024-05-22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배준호 국제경제부장 baejh94@

세계 곳곳 지정학적 분쟁 격화되고
보호무역 강화…100년 전과 비슷해
한국, 세계평화 기여 ‘버팀목’ 되길

제1차 세계대전의 악령이 부활하려 한다. 제국주의의 팽창 속에 열강 간의 긴장과 갈등이 고조되고 세계화에 대한 희망이 사라진 가운데 민족주의는 거세지고 있다. 신냉전으로 불릴 만큼 서구권과 중국, 러시아가 대립각을 세우고 있어서 1차 세계대전 당시 여러 나라가 복잡한 동맹 관계 속에 얽히고설켜 순식간에 전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렸던 일을 연상케 한다.

슬로바키아 핸들로바에서 15일(현지시간) 5발의 총성이 울려 퍼졌다. 당국의 친러시아 정책에 반발한 아마추어 작가 경력의 71세 쇼핑몰 경비원 출신 퇴직자가 로베르토 피초 총리를 공격한 것이다. 1차 세계대전의 도화선이 된, 1914년 세르비아 민족주의자가 오스트리아 황태자 부부를 암살한 사건을 떠올리게 한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022년 ‘특별군사작전’이라는 명목으로 우크라이나를 침공했을 때 내세운 명분은 민족주의였다. 그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혈연관계라면서 “우크라이나는 우리 역사와 문화, 종교에서 떼어놓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남태평양의 섬나라인 프랑스령 누벨칼레도니(영어명 뉴칼레도니아)에서 최근 벌어지는 유혈 소요 사태는 19세기 제국주의 시대를 떠올리게 한다. 프랑스가 누벨칼레도니에서 10년 이상 거주한 이주민에게도 투표권을 부여하려 하자 친독립 성향의 원주민 카나크족이 일제히 들고 일어선 것이다. 세계 3위 니켈 산지인 이 나라를 프랑스가 절대 포기하지 않으려 한다는 것도 식민지 시대의 논리다.

지난해 누벨칼레도니를 찾은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독립을 추구하면 중국 군사기지가 들어설 수 있다”며 “이는 사실상 독립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1차 세계대전이 터지기 전 세계 곳곳을 이미 식민지로 확보했던 영국과 프랑스 등이 떠오르는 강국이었던 독일을 견제했던 것과 비슷한 모습이다.

경제 방면에서도 1차 세계대전이 터지기 전의 불안한 상황과 비슷하게 각국의 보호무역주의가 한층 강해지고 있다. 세계경제포럼(WEF)은 19세기 중반부터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1914년까지 증기선과 전신, 전화, 수에즈와 파나마운하 등의 발전으로 급속한 세계화 시대가 수십 년간 이어졌으나 이런 변화에 따른 불평등의 확산과 그에 대한 반발로 포퓰리즘이 득세하면서 결국 전쟁이 터져 첫 번째 세계화의 물결이 무너졌다며 지금 상황은 당시와 유사하다고 우려했다.

물론 100여 년 전과 지금이 완전히 똑같을 수는 없다. 또 상황이 비슷하다고 제3차 세계대전 같은 파멸적 결과가 일어날 것이라고 벌써 걱정할 필요도 없다.

그러나 두 차례의 세계대전을 거치고도 인류가 교훈을 얻지 못하고 다시 비슷한 상황을 초래했다면 지금이라도 반성하고 분열과 대립의 풍선이 팽창하는 것을 막기 위해 바람을 빼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

한국은 전 세계 국가 중 1차 세계대전 당시와 비교하면 긍정적인 의미에서 가장 많이 변화한 나라로 꼽힐 수 있다. 일제 식민지였던 빈국에서 세계 10위권 경제국으로 우뚝 솟으면서 선진국 반열에 올랐다.

이런 우리나라가 1차 세계대전의 악령이 부활하는 것을 막는 버팀목이 됐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실제로 그렇게 할 수 있는 잠재력도 있다. 반도체와 배터리, 자동차에 이르기까지 한국은 글로벌 공급망에 없어서는 안 될 국가다. 또 K팝을 비롯한 한국 문화는 어느새 세계인의 많은 사랑을 듬뿍 받고 있다.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인도의 시성(詩聖) 라빈드라나트 타고르는 한국을 ‘동방의 등불’이라고 칭했다. 지금이야말로 그런 말을 들을 수 있는 위치에 어느 정도 온 것 같다.

우리나라가 3월 민주주의 정상회의를 개최하고 이번 주에는 ‘인공지능(AI) 서울 정상회의’를 여는 것도 한국이 세계 평화와 경제 안정에 이바지하기를 기대하는 세계인의 염원에 부응하는 행보로 볼 수 있겠다. baejh94@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