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차관, 엔젤로보틱스 방문…"시장지향형 혁신제품 지정 확대"

입력 2024-05-21 16:00수정 2024-05-21 16:2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혁신기업 건의 및 애로사항 청취…"글로벌시장 진출 지원 강화"

▲김윤상 기획재정부 차관이 5월 21일 오후 대전시 대덕구 엔젤로보틱스 대전 연구소를 방문해 재활 보행보조로봇 시연을 보고 있다. (기획재정부)

김윤상 기획재정부 제2차관은 21일 "차별화된 기술과 실질적 수요에 기반한 시장지향형 혁신제품 지정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김 차관은 이날 대전 대덕구 소재 혁신제품 생산기업인 엔젤로보틱스에서 관련 건의 및 애로사항 청취를 위한 현장 간담회를 열고 기업 관계자들의 혁신제품 구매 확대 요청에 이같이 답했다.

혁신제품 공공구매제도는 중소기업의 기술혁신과 공공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도입·운영 중이다. 정부는 지난 4년간 혁신제품 1893개를 발굴·지정해 2조8000억 원 규모의 혁신제품을 구매했다.

기재부는 해당 제도가 혁신 중소기업의 초기 판로 개척 및 성장 기회로 작용했다고 보고 있다.

정부는 제도 도입 5년 차를 맞아 그간의 양적 성장을 토대로 질적 성장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김 차관 주재로 3일 열린 조달정책심의위원회에서 △혁신제품 공공구매 성과제고 방안 △2024년 혁신제품 지정계획·구매목표 등을 심의·의결한 바 있다.

당시 의결한 혁신제품 공공구매 성과제고 방안에는 구체적으로 혁신제품 지정요건 중 기술적 차별성 평가 배점을 현행 10점에서 20점으로 강화하고, 구매편의 제공을 위한 단가계약 적용 확대, 고가 혁신제품에 대한 임차·구독계약 활성화 등의 내용이 담겼다. 올해 혁신제품 구매 목표는 전년 목표 대비 13.1% 오른 7698억 원이다.

김 차관은 이날 엔젤로보틱스 선행연구소를 방문해 해외수출을 추진 중인 착용형 재활보조로봇(혁신제품)을 직접 체험하고, 엔젤로보틱스·카이아이컴퍼니·엔티큐·파이어킴에너지솔루션·유솔·멀틱스 등 혁신 중소기업 대표들의 현장 목소리를 청취했다.

김 차관은 "해외실증 예산을 2023년 12억 원에서 2024년 70억 원으로 대폭 증액했다"며 "해외실증 대상기관을 현재 코이카·코트라뿐 아니라 공공기관 해외법인과 혁신기업이 발굴한 해외기관까지 확대하는 등 글로벌시장 진출 지원도 강화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도 혁신 중소기업의 건의사항 및 애로사항을 지속적으로 청취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