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금리 인하 시점 연기→美 국채 금리 인상→ 국내 국고채ㆍ은행채 상승
금시 선반영 특성상 변동금리도 끌어 올릴 것으로 예상
![](https://img.etoday.co.kr/pto_db/2024/05/600/20240502172903_2020181_437_230.jpg)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금리 인하에 대해서도 신중한 태도를 보이면서 ‘영끌족(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들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미국 금리 인하 시점이 불확실해 지면서 국내 시장의 금리도 인하 기대감도 한 풀 꺾인 상황이다. 고금리 속 빚을 내 집을 산 차주들이 치솟는 이자 부담에 더는 버티지 못할 경우 연체율이 우리 경제의 부실 뇌관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날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고정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연 3.48~5.78%다. 지난달 1일 기준 5대 은행 주담대 고정형 금리는 연 3.06~5.48%였다. 하단과 상단 각각 0.42%포인트(p), 0.3%p 오른 수치다. 다만, 변동형 주담대 금리(신규 코픽스)는 연 3.85~5.99%로 전달 연 3.90~6.01%보다 소폭 내려갔다. 금리를 선 반영하는 변동금리 특성상 추후 금리 인상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그동안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 때문에 변동금리가 내려갔는데,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늦춰지면서 변동금리도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 연준은 전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어 연 5.25~5.50%인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여섯번 째 연속 동결이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은 언제 금리를 인하할지 확신하기 어렵다며 기존 예상보다 더 오래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파월 의장은 “시장이 우려했던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 차단했지만, 금리 인하에 대한 확신은 약해졌다”고 말했다.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가 낮아지면서 미 국채금리도 오름세다. 이날 미 오후 국채 10년물 금리는 전날 보다 0.54%p 오른 4.61%에서 거래됐다. Fed 정책에 민감한 2년물 금리도 0.22%p 오른 4.95%를 기록했다.
미 국채금리 인상은 국내 국고채 금리와 은행채 금리 인상으로 이어져 국내 대출금리 인상을 부추길 수 있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23/10/600/20231027153918_1943455_600_383.jpg)
문제는 현재 금융권의 연체율이 연일 악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2월 기준 국내 은행의 전체 원화 대출 연체율이 0.5%대로 진입하며 4년 9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상승세를 지속해온 연체율로 은행들의 대출 문턱이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시장에서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을 10월~11월께로 보고 있다. 이렇게 될 경우 영끌족들의 허리휘는 이자 부담은 예상보다 더욱 길어질 것으로 우려된다.
이상호 한국경제인협회 경제산업본부장도 “시장에서 미국 연준의 9월 금리 인하 컨센서스(평균적 기대)가 형성됐지만, 늦춰질 개연성도 있다”며 “한은은 미국을 보고 10월, 11월 인하할 수 있지만 내년으로 넘어갈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