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상담소] ‘좋은 돌봄’이 빛나는 때

입력 2024-04-23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강원남 행복한 죽음 웰다잉연구소 소장

마을에 치매로 투병 중이신 할머니 한 분이 계셨다. 치매로 인지능력이 낮아졌음에도 혼자 살기를 고집하셨다. 주위 사람들은 걱정스러운 마음에 할머니께 요양원이나 요양병원의 입원을 권하였다. 하지만 그마저도 거부하고 자신의 집에서 살기를 바랐다.

안타깝게 여긴 이웃 한 분께서 식사와 대소변 처리를 도와드렸지만, 쉽지 않았다. 이웃은 치매 공공 후견인이 되어 할머니의 생활 전반을 도와드리기 시작했다. 기초생활수급제도를 이용하여 할머니께 필요한 물품과 식료품 등을 구입하고 전달하였다. 방문요양보호사를 신청하여 낮에는 요양보호사의 돌봄을 받을 수 있게 하였다. 그렇게 돌봄을 받던 중 갑자기 할머니의 병세가 악화되었고 병원으로 모시려 했지만, 할머니는 절대 병원은 가고 싶지 않다며 이를 거부하였다. 결국 할머니는 집에서 죽음을 맞았다. 가족들과 연고가 없던 할머니는 무연고 사망자로 처리되었고 이웃이 마지막 가시는 길을 배웅하기로 하였다.

할머니의 죽음은 안타까웠지만, 오히려 좋은 죽음이라 생각이 들었다. 치매로 인지능력이 저하됐음에도 할머니는 살아온 모습 그대로 살던 곳에 있기를 바랐다. 일상생활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이웃의 따뜻한 관심과 도움으로 마지막 순간까지 자신의 삶을 살 수 있었다. 비록 가족이 없는 무연고 사망자였지만, 끝까지 함께 해준 이웃 덕분에 고독사가 아닌 온전한 죽음을 맞을 수 있었다.

만약 할머니의 뜻에 반해 요양시설, 혹은 병원으로 입원했다면 할머니의 마지막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치매 끝에 건강이 악화되면 대형 병원으로 이송될 것이다. 당사자와 주위 사람들의 의사를 알 수 없기에 임종이 다가오면 연명의료 조치가 들어갔을 것이다. 중환자실에서 인공호흡기를 끼고, 심폐소생술을 받다 홀로 쓸쓸히 죽음을 맞을 것이다.

결국 죽음은 같지만 이웃의 관심과 돌봄 덕에 할머니는 마지막까지 삶의 모습을 지킬 수 있었다. 그리고 좋은 죽음을 맞을 수 있었다. 좋은 죽음은 이처럼 좋은 돌봄에서 출발한다.

강원남 행복한 죽음 웰다잉연구소 소장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