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경제 블록화…GS4에서 한중일 격돌”

입력 2024-04-21 11:00수정 2024-04-21 13:5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무협, ‘블록화 시대, 글로벌 사우스 활용 전략’ 보고서
멕시코서 경합 가장 치열, 인도ㆍ인니에서 한-중 경합

▲지정학적 근접성별 상품교역 및 거리 구간별 교역액 추이. (사진제공=한국무역협회)

지정학적 블록화가 가중되는 흐름 속에서 공급망 리스크 관리 및 신규 시장 개척을 위해 전략적 요충지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글로벌 사우스(GS) 국가와의 교역 및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21일 발간한 ‘블록화 시대, 글로벌 사우스 활용 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우방국을 중심으로 지정학적(Geopolitical) 블록화가 가속화되면서 교역 분절화 및 공급망 재편이 심화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정학적으로 가까운 우방국과의 교역이 빠르게 늘고 있으며 2020년 기준 우방국 교역 비중은 54.6%에 달했다.

양지원 무협 연구원은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공급망 재편은 구조적 축의 전환이므로 글로벌 사우스와의 협력은 필수적”이라며 “인도는 반도체ㆍ스타트업, 인도네시아는 무선통신기기ㆍ인프라, 멕시코는 기계류ㆍ자동차 및 부품, 브라질은 농산업ㆍ정보통신(ICT) 분야에서 우리의 수출ㆍ투자 기회가 풍부하다”고 밝혔다.

▲글로벌 사우스 주요 국가 산업별 특징. (사진제공=한국무역협회)

이처럼 ‘프랜드쇼어링(Friend-Shoring)’으로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공급망 다변화 및 성장 잠재력 측면에서 GS 국가의 역할이 기대된다. 보고서는 특히 GS 76개국 중 G20 회원국으로서 정치적 영향력이 있으면서, 경제 규모가 큰 GS4(인도ㆍ인도네시아ㆍ멕시코ㆍ브라질)’에 주목했다. 글로벌 공급망의 유망 생산 거점이자 성장잠재력을 지닌 거대 소비시장인 점도 부각된다.

인도와 브라질 수입시장은 최근 5년 간 연평균 5.6%씩 증가해 세계 평균(4.0%)을 상회하고 있다. 멕시코는 대(對) 세계 수입의 53.2%가 중간재인 대표적 글로벌 생산기지다. 인도네시아 역시 2022년 총수입 2000억 달러를 돌파해 주목받고 있다.

보고서는 GS4 시장에서 한ㆍ중ㆍ일 간 경쟁 구도에 주목했다. 인도, 인도네시아에서는 15대 품목 중 절반 이상에서 중국, 일본과의 수출 경합도가 2015년 대비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기술 혁신을 통한 제품 고부가가치화, 현지 네트워크 구축 등을 통해 경쟁력 강화에 나서야 한다.

반도체의 경우 인도 시장에서 중국(2015년 0.310→2023년 0.662), 일본(2015년 0.421→2023년 0.563) 제품과의 수출 경합이 심화하는 가운데 한국산 반도체 점유율은 상승했다. 인도의 반도체 총수입은 2015년 이후 연평균 27.2% 급증했으며, 전문 엔지니어 등 고급 인력도 풍부하다. 인도 정부도 ‘생산연계 인센티브(PLI)’, ‘세미콘 인디아 프로그램’ 등 반도체 산업 육성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이는 만큼 국내 반도체 기업은 인도 시장으로의 진출 확대를 모색해야 한다.

멕시코에서는 중국(0.472), 일본(0.537)과의 수출 경합이 GS4 중 가장 치열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박을 제외한 14대 품목 중 9개에서 일본과의 경합이 심화했으며, 지난해 석유제품의 경합도는 1에 가까울 만큼(한-중 0.726, 한-일 0.981) 치열했다. 그러나 최근 기계류 등에서 우리의 수출 경쟁력이 중국, 일본보다 높아진 점은 긍정적이다.

브라질에서 우리나라의 시장 점유율은 2010년 5위(4.7%)에서 2023년 11위(2.0%)로 줄었다. 브라질의 반도체 총수입은 최근 5년간 연평균 9.9% 성장했으나, 같은 기간 한국 반도체 수입은 8.7% 감소해 수출 확대를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양 연구원은 “다만 환율 변동, 인플레이션, 각종 규제 등 다양한 현지 리스크가 존재하는 만큼, 진출 기업의 애로를 해소할 수 있는 현장 밀착형 지원이 요구된다”며 “글로벌 사우스와의 교역ㆍ투자를 확대하는 동시에, 중장기적으로는 다자 협력 참여, 공적개발원조(ODA) 사업 확대 등 경제 협력 채널을 다각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