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시각] 살만한 세상은 도대체 언제쯤

입력 2024-04-08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김동선 사회경제부장
“자고로 사람 사는 곳은 사람 살만한 곳이 못 된다.”

십수 년 전 어느 날 A는 이 한마디를 남기고 홀연히 자취를 감췄다. 지인의 말에 따르면 그는 네팔로 떠나 히말라야 자락 어딘가에 터를 잡겠다고 했다고 한다. 누군가는 현실도피라고 타박하고 누군가는 재충전을 위한 휴식도 필요하다고 위로했다. A가 떠난 이유는 알 수 없다. 지극히 개인적인 가정사일 수도, 직장문제일 수도 있다. 흑(黑)이 아니면 백(白)이어야 하고, 시(是)가 아니면 모두 비(非)가 되는 세상에서 얼마나 사람에 치였으면 그랬을까 미루어 짐작할 뿐이다. 눈 뜨고도 코 베이는 각박한 세상이니 염증이 날만도 하다. 그러니 속세(?)를 떠나 홀로 사는 TV 속 ‘자연인’을 멍때리며 동경하게 되지 않던가.

과연 우리 사회는 사람 살만한 곳인가. 자발적이든 비자발적이든 자연인이 많다는 것은 역설적으로 사람과 부대끼며 살기 힘들어졌다는 방증이다. 지난달 통계청이 발표한 ‘2023 한국의 사회지표’는 이를 간명하게 증명한다. 지난해 국민들은 ‘보수와 진보’(82.9%) 갈등을 가장 크게 느낀 것으로 조사됐다. ‘빈곤층과 중상층’(76.1%), ‘근로자와 고용주’(68.9%), ‘개발과 보존’(61.4%) 갈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다른 유형은 전반적으로 하락했지만 유독 ‘보수-진보’ 갈등 인식률은 전년보다 0.3%포인트(p) 올랐다. 또 보수-진보 갈등이 가장 크다는 인식은 전 연령층에 걸쳐 가장 높았다.

이 같은 갈등을 조정해야 할 정치권은 갈등 유발자가 된 지 오래다. 사람 살만한 세상을 만들겠다고 이번 총선에 나온 인물은 비례후보를 포함해 947명에 달한다. 1000명에 가까운 인물들이 저마다 세상을 바꾸겠다고, 더 나은 삶을 만들겠다고 부르짖고 있지만 진정 나라와 지역구의 미래, 주민의 더 나은 삶을 고민하는 후보자가 몇이나 될지 의문이다.

남을 밟고 일어서야 내가 살아남는다고 믿는 선거판의 속성 때문일까 전쟁터를 방불케 하는 정치권의 아귀다툼은 선거일이 다가올수록 더욱 심해지고 있다. 진영간 막말 공방은 치졸하기까지 하다. 모범을 보여야 할 거대 양당의 선거 책임자인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입씨름은 정치를 더욱 희화화할 뿐이다. 지역 현안과 정책 이슈를 두고 토론을 해도 모자랄 판에 대파와 샴푸를 두고 힐난을 주고받는 것이 과연 책임 정당의 대표의 도리인가 싶다. 잘못한 말과 행동이 있거든 여차여차 해서 어긋났다고 사과하면 그만인 것을 구차한 변명과 빈약한 방어 논리를 만들어내니 역겨운 막말만 확대 재생산되는 것이다.

거대 양당이 발표한 공약은 국민 삶과 직결된다. 당장 총선후엔 양당이 내놓은 공약 청구서가 날아온다. 민주당의 ‘민생회복지원금’에 약 13조 원, 국민의힘의 무상교육·보육에 6조 원이 넘는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그밖에 공약들을 하나둘 반영하다 보면 나라 살림살이는 더 팍팍해질 수밖에 없다. 특히 관리재정수지 적자 규모를 국내총생산(GDP)의 3% 이내로 관리하겠다는 정부의 건전재정 목표도 3년 연속 지키지 못할 공산이 커졌다.

사회적 갈등이 심해지만 그 자체로 피로한 사회를 만들고 고스란히 국민 삶에 영향을 미친다. 정작 홀연히 떠나야 할 사람은 A와 같은 국민이 아니라 정치판에 기생하는 유사 정치인이다. 최선이 아니면 차선을 선택해야 하는 게 선거라지만 정치(政治)를 위장한 협잡꾼의 난립에 옥석 가리기도 쉽지 않다. 최악을 막기 위해 차악이라도 골라야 하는 선거가 올해도 반복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비용과 피로도를 낮추려면 투표해야 한다.

김동선 사회경제부장 matthew@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