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기업 100곳 중 66곳은 경제안보 인지 못 해…33곳은 별도 대응도 없어

입력 2024-02-16 06:00수정 2024-02-16 09:2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산업부, '제2차 무역·기술 안보 포럼' 개최
정인교 통상본부장 "민관 소통으로 경제안보 전략 필요성 공감대 형성해 실행"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16일 서울 중구 더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무역·기술 안보 포럼 제2차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산업통상자원부)

무역기업 100곳 중 66곳은 경제안보를 잘 인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3곳은 별도 대응도 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는 민관 소통으로 경제안보 전략 필요성 공감대를 형성한다는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6일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 주재로 학계·산업계 등 무역·기술 안보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제2차 무역·기술 안보 포럼'을 열었다.

이날 포럼에서 산업부와 전략물자관리원, 한국무역협회는 우리 무역업체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무역·기술안보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1월 30일부터 이달 8일까지 일반 무역기업 42개 사, 전략물자 취급 기업 190개 사 등 232개 사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조사 결과 응답 기업 중 일반 무역기업의 66.7%가 경제안보를 잘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다. 특히 무역안보 위험에 대한 대처 수준도 38.1%에 그쳤고, 별도 대응을 하지 않는다고 답한 기업도 33.3%에 달해 국내 기업들의 경제안보 인식이 낮고 대응수준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무역기업의 35.7%는 경제안보 대응을 위해 자사의 주력산업 경쟁력 강화에 역점을 둔다고 했으며, 앞으로 우리 정부가 기술 불법 유출 방지 및 주요국 간 외교·통상협력 강화 정책을 시급히 추진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포럼위원들은 경제안보 확립을 위해 국내기업의 낮은 경제안보 인식을 높이는 것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이를 위해 민관협력과 긴밀한 소통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정 본부장은 "앞으로의 통상정책은 경제안보를 중심으로 정립하는 게 필요하다"라며 "국내 안보인식은 아직 낮은 수준인 만큼 향후 민관이 긴밀히 소통하면서 경제안보 전략 필요성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함께 실행해 나가자"라고 당부했다.

한편, 산업부는 (가칭)'통상 및 무역·기술안보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이번 설문조사를 준비했으며, 향후 포럼 분과회의 및 전문가 회의 등 추가 의견수렴을 거쳐 3월 중 전략을 수립·발표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