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한국 경기 회복 회원국 중 가장 빠를 것

정부, 소비와 투자 살지 않아 경기 저점론 신중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29개 회원국 가운데 경기 회복이 가장 빠를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우리 정부는 아직 성장률이 회복세가 뚜렷하지 않고 소비와 투자가 살아나고 있지 않다는 점을 들어 경기 저점 기대감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4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OECD는 최근 발표한 경기선행지수(CLI) 보고서에서 한국의 3월 CLI가 전월대비 2.2P 상승해 96.8을 기록했다며 회원국 가운데 가장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했다.

CLI는 산업활동동향, 주택 동향, 금융.통화 현황, 국내총생산(GDP) 흐름을 복합적으로 계산한 것으로 보통 6개월 후의 경기를 예측하는 지표다. CLI가 100 이상에서 증가하면 경기 팽창을 의미하고, 감소하면 경기 하강을 뜻한다. 100 이하에서 CLI가 증가하면 경기 침체에서 회복하는 것을 나타낸다.

한국의 CLI는 지난해 4월 100.4를 기록하다고 미국발로 시작된 글로벌 금융위기가 불거진 후 10월 90.7, 11월 90.8, 12월 91.4를 기록했다. 하지만 올해 1월에는 CLI가 92.7, 2월에는 전달보다 1.9P 상승하며 94.6를 기록하면서 회복세로 돌아서고 있는 것.

또한 CLI가 6개월 뒤의 경기를 예측하는 것으로 고려할 때 한국은 5월 경기는 바닥을 찍지 않았냐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는 이다.

반면 OECD 회원국의 전체 평균 CLI가 전달에 비해 0.2P 떨어져 세계적으로 경기 침체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OECD 회원국 가운데 CLI가 전월 대비 증가한 국가는 한국과 터키(1.4P), 멕시코(1.3P), 프랑스(1.1P) 등 10개국이다. 반면 일본(-1.0P)과 포르투갈(-0.8P), 스웨덴(-0.7P), 미국(-0.6P) 등은 전월보다 감소해 경기침체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분석됐다.

이와는 별도로 앞서 OECD는 지난달 말 한국이 회원국 가운데 유일하게 1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기 대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한국은 올 1분기에 국내총생산(GDP)이 전분기 대비 0.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OECD 회원국 중 유일하게 GDP가 전기 대비 증가했다는 것.

OECD 회원국들의 1분기 평균 GDP 성장률은 -2.1%였다. 특히 유럽연합(EU)은 -2.5%였다. 이러한 수치는 1960년 통계치 작성 이래 가장 낮은 수치인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재정부는 1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기 대비 0.1% 성장하고 4월 광공업생산도 전월대비 2.6% 증가하는 등 일부 경제지표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은 사실이지만 아직 경기 바닥 기대감에 대해선 경계하고 있는 입장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