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 파산보호 임박…GM대우 부품업체 지원대책 마련 중

입력 2009-05-28 17:5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채권단과 출자전환 협상 난항으로 미국의 자동차회사 제너럴모터스(GM) 본사의 파산보호 신청이 기정사실화되면서 GM대우에 대한 정부 대책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GM 본사가 파산보호 신청에 들어갈 경우 GM의 공장가동은 우량자산만을 떼어내 뉴GM으로 거듭나는 두달여간 전면 중단돼 GM대우를 비롯해 GM대우의 부품업체들까지 연쇄 악영향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28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지경부를 비롯한 정부 당국은 GM의 파산과 관련, 여러 가지 가능성을 열어두고 국내 자동차산업에 미칠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지원대책을 준비하고 있다.

GM의 파산이 6월 1일 결정나더라도 GM대우의 운명이 바로 결정되는 게 아닌 만큼 이후 절차를 통해 GM대우의 처리문제를 논의하는 한편 조만간 GM대우의 부품업체들에 대한 유동성 지원방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지경부 관계자는 "GM 파산시 공장 가동이 중단되는 만큼 GM대우 협력업체에 대해 유동성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마련할 것"이라며 "정부의 직접적 지원보다는 금융을 통한 간접지원 방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 지난달 인천시와 경기도, 기업은행, 신한은행, 농협 등이 출자한 돈으로 보증재원을 조성해 두 회사의 부품 협력업체들에 2천400억원의 유동성을 지원하는 방안이 마련됐지만 GM이 실제 파산에 직면할 경우 부품업체들이 입을 충격이 크기 때문이다.

정부는 부품업체들과의 대화를 통해 ▲GM대우 전속업체 ▲GM대우 수출부문 주력업체 등 회사 특성에 따라 유동성 지원, 여타 신규 판로 개척지원 등의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