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당 환자 금연하면 췌장암 위험 줄어든다

입력 2023-11-28 11:18수정 2023-11-28 14:1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고려대안산병원 연구팀, 고혈당 환자 흡연시 췌장암 위험 1.8~2.7배↑

당뇨병 전단계와 당뇨병 환자 등 고혈당이 있는 사람이 금연을 하면 췌장암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박주현<사진> 고려대학교 안산병 가정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고혈당 환자의 흡연 상태(흡연·금연)와 췌장암 위험성의 연관성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28일 밝혔다.

연구팀은 “췌장암 위험이 높은 당뇨병 전단계 및 당뇨병 환자가 흡연을 하면 췌장암 위험이 매우 높게 증가한다. 반면, 금연을 하면 췌장암 위험이 비흡연자에 가깝게 감소한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치명적인 암으로 평가되는 췌장암은 5년 생존율이 약 10%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췌장암 발생률과 사망률이 전 세계적으로 점차 증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특히 혈당이 높으면 췌장암 위험이 증가한다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지만, 이러한 사람들이 흡연과 금연을 하는 경우 췌장암 위험이 어떻게 달라지는 지에 대해 규명된 건 이번 연구가 처음이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국가건강검진 정보를 활용해 952만 명에서 발생하는 췌장암 위험을 흡연과 금연 상태에 따라 분석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8년 총 1만5245명이 췌장암을 새롭게 진단받았고, 혈당이 높은 사람들이 흡연할 경우 췌장암 위험이 매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정상 혈당인 사람이 흡연을 하면 췌장암 위험이 1.5배 증가했지만, 당뇨병 전단계 및 당뇨병 환자가 흡연하면 그 위험이 각각 1.8배, 2.7배로 상승했다.

반면 혈당이 높더라도 금연을 하면, 특히 20갑년(1갑년-하루 1갑씩 365일 흡연량) 이하로 비교적 짧은 기간 흡연했다 금연하는 경우에는 췌장암 위험이 비흡연자와 거의 비슷하게 감소했다.

박주현 교수는 “췌장암 위험이 높다고 알려진 혈당이 높은 사람들에서 금연의 이득이 매우 크다”며 “흡연을 할 경우 췌장암 위험이 매우 높게 증가하나, 그렇게 높게 증가한 위험을 금연으로 유의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박 교수는 “흡연 기간이 짧은 경우 금연을 했을 때의 이득이 더 분명했으므로 이른 시기에 금연을 하려는 노력이 췌장암을 예방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 종양학 분야 상위 수준의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종합암네트워크저널(Journal of the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에 편집인들의 주목을 받으며 2023년 11월호에 게재돼 학술적 가치 및 연구의 우수성을 입증 받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