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업 경쟁력 회복” 이마트, 3분기 별도기준 영업익 전년 대비 5%↑

입력 2023-11-14 13:53수정 2023-11-14 15:0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상품 혁신·점포 리뉴얼, 수익성 개선 노력 효과
연결 기준 영업익, 전년비 228억 감소한 779억 원

▲이마트 본사 전경 (사진제공=이마트)

경기 불황 속에서도 이마트가 본업의 경쟁력 회복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이마트는 올해 3분기 별도 기준 영업이익이 지난해보다 5% 증가한 1102억 원을 기록했다고 14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지난해 동기 대비 2.2% 감소한 4조4386억원이다. 이마트 별도 영업이익이 성장세를 기록한 것은 지난해 4분기 이후 3분기 만이다.

이마트는 물가 안정 기여 연중 프로젝트 ‘더 리미티드’ 등 고객 관점의 ‘상품 혁신’과 고객의 라이프 스타일을 반영한 ‘점포 리뉴얼’, 수익성 개선 노력에 따른 비용 효율화 등이 ‘본업 경쟁력 강화’에 효과가 있었다고 평가했다.

노브랜드를 중심으로 한 전문점은 수익성 위주의 사업구조 재편 후 안정적인 실적을 이어가고 있다. 3분기 94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하며, 누계 영업이익 285억 원을 기록했다.

객수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할인점은 지난 2분기(5.5%)에 이어 3분기에도 객수가 5.8% 늘어났으며, 트레이더스는 1분기(1.3%), 2분기(3.2%)에 이어 3분기에는 6.2% 증가했다. 고객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은 앞으로 추가 성장의 발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연결 기준 실적은 신세계건설의 부진으로 영업이익이 뒷걸음쳤다.

이마트의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779억 원으로 전년 대비 23%가량 감소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7조7096억 원으로 전년 동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당기순이익은 20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3.8% 감소하며 손실 폭이 커졌다.

고금리와 원자재 가격 인상 등 원가 부담 증가로 인해 신세계건설의 영업이익이 지난해 대비 551억 원 줄어든 것이 영향을 미쳤다.

G마켓은 지속적인 수익성 강화 작업이 효과를 거두며 3분기 영업손실이 지난해 대비 48억 원 줄어든 101억 원을 기록했다.

조선호텔앤리조트와 신세계프라퍼티는 엔데믹 영향으로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조선호텔앤리조트의 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7억 원 늘어난 149억 원, 신세계프라퍼티는 84억 원 늘어난 106억 원을 기록했다.

스타벅스는 지난해보다 232억 원 늘어난 498억 원, 신세계푸드가 35억 원 증가한 78억 원의 영업이익을 내는 등 성장세를 이어갔다.

이마트는 향후 내실 있는 성장을 위해 신규 출점과 리뉴얼 등을 통한 외형 성장을 도모하는 한편, 수익성 강화에도 집중한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이마트·이마트24·이마트에브리데이 3사의 기능을 통합, 매입경쟁력 강화를 중심으로 ‘오프라인 3사 One대표 체제’의 시너지를 높여 나갈 계획이다.

G마켓은 고수익 상품 판매, 물류 효율화 등 적자폭 감소에 효과를 거두고 있는 수익성 개선 작업에 집중하고, SSG닷컴은 성장과 수익의 균형을 이루는 ‘균형성장’ 전략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특히 4분기에는 쓱데이와 개점 30주년 기념행사 등 이마트가 공들여 준비한 연말 대형 행사가 이어져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이마트는 “3분기에는 고객 관점에서의 상품 혁신과 점포 리뉴얼이 큰 폭의 객수 신장으로 이어지는 등 본업 경쟁력이 회복되는 긍정적 신호가 나타났다”며 “오프라인 3사의 기능 통합을 본격화하고 구조적 쇄신 작업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