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하마스 무력전 등 불안정한 중동 통상전략은?

입력 2023-11-03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중동 산업협력 포럼…“우리 입장 조율해 통상 전략 수립”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이스라엘이 가자지구 자발리아 난민촌에 대규모 공습을 가한 뒤 주민들이 수색 작업을 벌이고 있다. 자발리아/로이터연합뉴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이스라엘과 하마스 무력전 등 불안정한 국제 환경 속에서 우리 입장을 조율해 통상전략을 펼쳐야 한다는 조언이 나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일 안덕근 통상교섭본부장 주재로 국립외교원, 연구기관, 대학 등 국내 중동 전문가들과 함께 제2차 한-중동 산업협력 포럼을 열었다.

인남식 국립외교원 교수는 43년 만에 한-사우디 공동 성명이 채택됐다는 것은 중요한 의의가 있으며,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이스라엘-하마스 간 무력충돌 등으로 인해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 구상에 균열이 생기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한국이 2024~2025년 국제연합(UN) 안전보장이사회 이사국으로서 우리 입장을 조율해 나갈 필요가 있음을 시사했다.

성일광 고려대 교수는 그간 논의된 사우디-이스라엘 관계 정상화는 중동 지역 화해뿐 아니라, 이스라엘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과도 관계 정상화 기회를 열어주는 중대한 함의를 지닌다며 현재 중단된 관계 정상화 논의는 이스라엘-하마스 무력충돌이 종료될 경우, 재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정부와 기업이 중동 정세를 예의주시면서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장지향 아산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독자적 행보를 보여 주변국의 눈초리를 산 카타르는 미국과 정치, 군사, 에너지, 방산 등 분야와 긴밀한 협력을 이어나가고 있다며 카타르와 역내 주요국 간 역학관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카타르 경제협력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안 본부장은 “수출 중심, 원유 수입국인 우리에게 세계 경제 침체와 국제 유가 상승은 해결해야 할 난제”라며 “이번 순방(사우디, 카타르)을 통해 확보한 202억 달러의 경제협력 성과를 구체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의 산업발전 역량과 기술력을 중동 국가들의 풍부한 원유·가스 및 산업다각화 정책과 연계함으로써 현 위기를 기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