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前 대통령 서거 증시에 미칠 영향은?

입력 2009-05-25 09:1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단기 악재는 분명하나 증시 큰 영향은 없을 듯"

갑작스러운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로 인해 정치적 돌발변수가 생기면서 국내 증시 역시 불확실성을 확대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특별한 상승 모멘텀 부재로 1400선을 전후로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 정치적인 돌발 변수가 투자심리를 위축시켜 단기적인 악재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특히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로 인해 임시국회가 연기될 것으로 보여짐에 따라 현재 국회에 계류중인 미디업법이나 금융지주회사법 등의 통과가 늦어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개별 종목들의 주가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정치적 변수 일시적인 악재에 불과

증권가에서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와 향후 증시 전망을 연결시키는 것에 대해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대부분의 증권 전문가들은 이번 정치적인 돌발 변수가 증시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즉, 이번 사안이 경제적인 큰 이슈라기보다는 사회적ㆍ정치적 사안으로 현재의 경제 상황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은 미미하다는 것이다.

LIG투자증권 서정광 투자전략팀장은 "전 국민들이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로 인해 슬픔에 잠겨 있는 가운데 굳이 이 사안이 증시와 연결고리가 될 만한 것인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서 팀장은 "경제적으로 이번 사건이 큰 이슈가 되지는 않을 것이다"며 "과거 비경제적인 이슈였던 김일성 사망이라든가 탄핵사건이 있었을 때도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치지지는 못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시장이 1400선 위에서 막혀가고 있는 과정에서 바라 볼 때 단기적인 심리적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동양종합금융증권 이재만 연구원은 "일단 임시국회 연기로 인해 미디어법과 금융지주회사법 통과가 늦춰질 것으로 보이나 어디까지나 일시적인 것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이 연구원은 "비경제적인 이슈로 증시가 흔들릴 수는 있으나 단기적인 악재에 불과할 뿐 빠른 시일내에 회복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주장했다.

◆미디어법 등 정책관련주에는 단기 악재

이번 사안이 정치적인 돌발 변수로 국한되고 있는 가운데 국회 의사처리 결정 불확실성으로 인해 정책 관련주들의 주가 하락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국회에는 미디어법과 금융지주회사법 등이 계류중에 있는 상황에서 이번 정치적 이슈가 여야간 의견대립으로 치다는다면 관련 법 통과가 쉽지만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지금까지 미디어법과 금융지주회사법 등 정책과 관련돼 주가가 상승했던 종목들이 일시적인 충격에 빠질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KB투자증권 최훈 선임연구원은 "6월 임시국회에서의 미디어법 처리방향 가늠하기 어려워졌다"며 "미디어업종 전반적으로 미디어법 개정 모멘텀이 반영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정치적 돌발변수는 미디어업종 주가 관점에서의 불확실성을 증대시킬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최 연구원은 "지금은 극도의 정치적 돌발변수 도출로 인해 정부 및 여당의 미디어법 개정안 처리 여부에 따른 산업 및 업체별 전망을 당분간 보류해야 할 상황이다"며 "다만 미디어법 개정과 별개로 진행되고 있는 민영미디어랩, IPTV, CATV M&A 모멘텀과 하반기 광고시장 회복세를 감안한 선별적 저가 매수 기회를 모색할 것을 권고한다"고 말했다.

우리투자증권 강현철 투자전략팀장은 "여야간 정치 갈등이 심화되거나 사회단체간 논쟁이 심화될 경우 6월 임시국회에서 통과가 예정되어 있는 미디어법, 공정거래법 개정안, 금산분리, 한미 FTA관련법 등의 통과가 어려워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물론 집권여당이 전체 의석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추경을 포함한 정부의 경기부양책 수행에는 큰 무리가 없겠지만, 미디어법 등 논쟁이 심화되고 있는 쟁점법안에 대해서는 통과시기가 늦춰지거나 논쟁이 심화될 소지가 있다는 것이다.

강 팀장은 "정치적 변수로 인한 금융시장의 영향 또한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며 "정치적 충격은 보통 북한 미사일 발사나 총격전과 같은 대북 리스크과 같은 국내 정치적 요인에 의한 경우가 존재하는 데, 대부분 주가에 미치는 영향은 2% 내외에 그쳤으며, 충격으로 인한 조정도 1~2일 이후에는 만회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대통령 서거와 관련해서 국가신인도나 외국인 투자자의 주식 매매에 미칠 충격을 고민할 수 있지만, 노 대통령 서거가 쿠데타나 암살과 같은 충격적인 방법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이에 미칠 영향은 사실상 없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