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硏, "향후 인프라 금융 수요 확대에 대비해야"

입력 2009-05-24 10:1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내 금융기관의 전략적인 관심 요구돼

사회간접자본 건설에 필요한 자금을 충당하기 위한 방식을 뜻하는 인프라 금융의 수요가 최근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며 이에 대한 국내 금융기관들의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김영도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24일 '인프라 금융 수요확대와 국내 금융기관 활용방안'이라는 분석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김 연구위원은 "현재 사회기반시설 구축과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해 개도국, 특히 아시아지역의 인프라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향후 금융위기가 진정 국면에 접어들면 수요 급증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김 연구위원은 "인프라 금융은 상대적으로 낮은 위험을 가지지만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거둘 수 있는 특징이 있다”며 “최근에는 정부 재원이 아닌 민간 부분의 자금을 이용한 방식으로 급격히 전환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과거 공공재 성격을 갖는 사회간접자본의 확충이 정부 투자를 통해 이뤄졌으나 정부 재원이 불충분한 개발도상국에서는 정부가 늘어나는 막대한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고 민간이 정부의 부족한 자금을 충당하는 ‘민간투자사업’ 방식으로 전환되고 있기 때문이다.

김 연구위원은 "이처럼 기존 인프라를 개선하거나 새로운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필요한 인프라 금융 수요는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라 국내 금융기관에게는 새로운 투자처로 부상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했다.

그는 "일례로 아시아개발은행(ADB), 일본 국제협력은행, 세계은행의 추정치에 따르면 동아시아에서만 향후 5년간 연 2000억 달러에 달하는 투자 수요가 발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며 “이는 일반적 벤치마크인 GDP의 5% 수준을 상회하는 6~7%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인도 정부는 오는 2012년까지 인프라 투자를 GDP의 8% 수준까지 끌어올리겠다고 공언하는 등 아시아 지역의 인프라 투자 수요는 향후 지속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김 연구위원은 "국내에서도 과거 외환위기 직후 호주의 맥쿼리 금융그룹을 중심으로 한 해외금융기관의 인프라 금융이 주도된 바 있다"며 "이번에는 국내 금융기관이 인프라 금융을 위해 해외진출을 위한 전략으로 적극적인 고려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했다.

다만, 그는 "국내 인프라 금융의 현실을 살펴보면 최근 많은 글로벌 인프라 펀드들이 조성되고 있으나 여전히 인프라 투자관련 외국회사의 주식 매입이나 해외 공모 인프라 펀드에 재투자하는 수준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김 연구위원은 "따라서 국내금융기관이 해외 인프라 금융을 실질적인 해외진출의 교두보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투자대상 사업 발굴 및 국내 기업의 해외진출 확대와 연계한 업무영역 개척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그는 "이를 위해 인프라 투자를 위한 자금모집, 각국 실정에 맞는 공공자금 운용방식의 개발, 해외프로젝트 투자 대행업무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능력 등이 갖춰져야 하고 이를 위한 운용인력의 확충도 병행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