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처럼 쏟아지는 송충이 ‘경악’…한강 점령 벌레는

입력 2023-10-23 10:0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강에서 발견된 미국흰불나방 유충 (출처=트위터 @UNICON****, @freu**** 캡처)

한강공원과 서울 도심 곳곳에 송충이처럼 생긴 벌레가 출몰해 시민들의 불편이 이어지고 있다. 해당 벌레는 ‘미국흰불나방 유충’으로 알려졌다.

23일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한강공원에서 송충이처럼 생긴 벌레를 목격했다는 글이 다수 올라왔다. 심지어는 하늘에서 송충이가 비처럼 내려온다는 글도 있었다.

산책로에서도 기어 다니는 송충이 벌레가 다수 확인됐고, 행인에게 밟히거나 말라 죽은 듯한 잔해도 있었다고 연합뉴스가 22일 보도했다.

해당 벌레는 송충이가 아닌 미국흰불나방 유충으로 알려졌다. 하얀 털로 뒤덮인 미국흰불나방은 활엽수 잎을 갉아먹어 고사에 이르게 하는 해충으로 1958년 국내에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흰불나방 유충은 평균적으로 암컷 한 마리당 알 600개 정도를 낳고 죽는다. 보통 한 해에 암컷이 알을 낳고 죽은 뒤 이 알에서 부화한 2세대가 성충이 된다.

김민중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박사는 올해 가을철 온도가 예년보다 1∼2도 올라가면서 미국흰불나방 유충 2세대 성충이 낳은 알에서 부화한 3세대까지 성충이 되는 비율이 늘어났을 것으로 추정했다.

앞서 산림청은 8월 말 “경기·충북·경북·전북 등 전국적으로 미국흰불나방의 밀도 증가가 확인되고 있다”며 발생 예보 단계를 ‘관심’(1단계)에서 ‘경계’(3단계)로 상향 조정한 바 있다.

산림병해충 방제 규정 제6조에 따르면 경계 단계는 외래·돌발병해충이 2개 이상의 시·군 등 다른 지역으로 확산하거나 50㏊ 이상의 피해가 발생한 경우에 해당한다.

▲미국흰불나방 유충 (출처=트위터 @fm_nei**** 캡처)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