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저축銀 몸집불리기 제동

조기경보모형 개발해 사전예고 기능 강화

금융감독원이 최근 가열되고 있는 저축은행의 몸집불리기에 제동을 걸었다.

김준현 금감원 저축은행서비스국장은 21일 저축은행 경영건전성 제고를 주제로 한 워크숍에서 “저축은행의 총자산은 71조1천억 원으로 금융위기와 PF대출 부실 등으로 영업환경이 악화됐음에도 M&A등을 위해 총자산 규모를 증가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국장은 “불리한 경영환경에서 이와 같이 빠른 자산확대의 경우 과도한 리스크가 축적되며 이는 미래의 부실화 원인이 될 수 있다”며 “현재는 외형적 성장보다는 보유자산의 건전성 제고 등 내실을 다짐으로써 지속가능한 성장을 추구해야 할 시기로 본다"고 말했다.

김 국장은 “현재는 금리하락이 이어지는 가운데 작년 말에 유치한 고금리 수신과 후순위채 발행 등으로 이자비율 상승에 따른 수익성 악화가 우려되는 시점”이며 “조달비용과 운용수익 등을 분석해 금리 위험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 국장은 "이번 6월 말 결산에서 건전성 지표가 어떻게 나오느냐에 따라 저축은행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재연될 가능성이 있다"며 "건전성 지표가 양호하게 나올 수 있도록 적극적인 연체채권 관리와 충당금 적립, 이익의 내부유보 및 추가 자본확충 노력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김국장은 “현재 저축은행의 경영위기에 대비한 긴급대응 시나리오를 마련, 운영되고 있으며 조기경보모형의 유의성 제고를 위해 새로운 지표를 개발하고 보완해 위기 사전예고 기능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