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차례 지방 쓰는 법…‘현고학생부군신위’ 올바른 작성법은?

입력 2023-09-29 07: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매번 추석 명절만 되면 헷갈리는 지방 쓰는 방법.

지방이란 차례를 모시는 대상자를 상징하며, 사당에 쓰이는 신주(神主)가 없을 때 임시로 만드는 위패를 말한다.

차례상에 올리는 지방은 폭 6cm, 길이 22cm 정도의 종이에 각 관계에 맞는 양식에 따라 한자 또는 한글로 작성한다. 원래 한자를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최근에는 한글로 쓰는 경우도 많다.

지방을 쓸 때는 ‘현고학생부군신위’를 기억하면 된다.

지방의 가장 첫 글자는 인을 모신다는 뜻을 담고 있는 ‘나타날 현(顯)’자다. 이어 고인과 차례를 모시는 사람과의 관계, 고인의 직위, 고인의 이름, 신위(神位·신령의 자리로 설치된 장소라는 뜻) 순으로 적는다.

부모님 차례의 경우 두 분이 모두 돌아가셨을 때는 하나의 지방에 함께 작성한다. 아버지는 왼쪽, 어머니는 오른쪽에 적는다. 부모님이 아닌 조상의 경우 지방에 쓸 조상이 두 분 이상일 때도 같다. 다만 남자 조상을 왼쪽에 쓰고 여자 조상을 오른쪽에 쓴다.

제주와 관계에 따라 아버지는 상고할 고(考), 어머니는 죽은 어미 비(妣), 할아버지는 조고(祖考), 할머니는 조비(祖位), 증조 이상에는 증(曾) 자와 고(高) 자를 앞에 붙인다. 남편은 ‘현벽’으로 써주면 된다. 아내는 현을 붙이지 않고 ‘망실’ 혹은 ‘고실’이라고 쓴다. 형은 ‘현영’, 형수는 ‘현형수’, 동생은 ‘망제’ 또는 ‘고제’, 자식은 ‘망자’ 또는 ‘고자’라고 작성하면 된다.

조상이 벼슬을 했다면 관계 뒤 벼슬 이름을 쓰고, 여자 조상은 남편의 급에 따라 나라에서 받은 호칭을 쓴다. 벼슬을 지내지 않았다면 남자 조상은 ‘학생(學生)’, 여자 조상은 ‘유인(孺人)’이라고 적는다..

마지막으로 벼슬 뒤에 이름을 적고 남자 조상은 부군(府君), 여자 조상은 고인의 본관과 성씨를 쓴다.

여기에 마지막으로 신위(神位)를 붙이면 된다..예를 들어 아버지를 기리는 제사나 차례를 지낼 경우 우리가 한 번쯤은 들어봤을 법한 ‘현고학생부군신위’(顯考學生府君神位)라고 쓰고, 어머니의 경우 ‘현비유인○○○씨신위’(顯妣孺人○○○氏神位)라고 적는다.

또 지방은 죽은 사람의 혼을 대신하는 것이므로 한 번 사용한 뒤 바로 소각하는 게 관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