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업계, 화물연대 파업 예의 주시

입력 2009-05-18 15:5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향후 운송료 결정에 영향... 물류대란 재발도 우려

지난 16일 민주노총 산하 전국운수산업노동조합 화물연대(이하 화물연대)가 총파업을 결의함에 따라 택배업계가 이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

택배업계는 화물연대가 집단운송거부를 결의함에 따라 이번 사태의 해결여부가 향후 택배업계의 배달 수수료 책정에 많은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번 사건의 발단은 대한통운 광주지사와 택배 배달 수수료 30원 인상 투쟁을 하던 화물연대 광주지부 지회장 박종태 씨가 자살하면서 촉발됐다.

하지만 주무부처인 국토해양부와 해당기업인 대한통운은 “고 박 씨는 대한통운 직원도 아니며, 대한통운과 계약한 택배차주도 아닌 제3자”라며 이번 파업의 정당성이 없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대한통운 광주지사의 택배 수수료(920원)는 해당지역 다른 업체나 대한통운의 다른 지역보다도 높은 수수료이기 때문에 이번 파업은 명분이 없다는 것.

하지만 택배업계는 조심스럽게 이번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우선 컨테이너 물량의 경우 철도나 연안운송 등의 대체방법이 있지만, 택배물량은 총파업에 들어가면 말 그대로 ‘올 스톱’이 되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정확한 총파업 일시를 발표하지 않았지만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화물연대 비가입차량을 최대한 확보해 택배운송에 차질 없도록 하는 것이 현재 상황하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라면서도 “하지만 파업이 장기화된다면 택배운송은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심사항은 택배 수수료 문제다.

대한통운이 국내 택배업계 1위일 뿐만 아니라, 이번 화물연대의 파업은 과거 운송수수료 및 유가보조금 인상 등과 같은 생계형 요구는 아니지만 화물연대의 요구사항에 ‘계약해지자 복직 운송료 삭감 중단’ 항목이 있어 수수료 문제가 걸림돌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대한통운측이 사태의 원만한 해결을 위해 택배차주들과 운송료 협상에 나설 수도 있을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택배 수수료가 조정이 된다면 다른 택배업체들의 택배차주와의 운송표 협상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과거와 같은 물류대란의 재현에 대해서는 반신반의하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사태의 발발이 개별기업 한 지부에서 일어난 것이며, 택배업종에 국한돼 있기 때문에 과거의 파업처럼 국가 수출입물량에 타격을 입힐만한 물류대란이 재현될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민주노총이 6월 중하순께로 예고했던 총파업 일정을 화물연대 파업일정과 맞춘다고 밝혀 예년의 물류대란 수준은 아니더라도 상당한 진통이 있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국토부는 화물연대의 불법집단 행동에 대해서는 법과 원칙에 따라 초기부터 엄정 대처할 방침이다.

집단행동에 참여한 화물차주에 대해서는 유가보조금 지급을 중단하고, 차량을 이용해 집단적 교통방해 행위시에는 운전면허 정지 또는 취소 등의 강력한 대응을 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