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역사상 첫 파업 위기 포스코…상생협력으로 공멸 막아야

입력 2023-09-04 12:2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포스코 노동조합이 6일과 7일 광양제철소, 포항제철소에서 연달아 쟁의대책위원회 출범식을 갖는다. 파업 방향을 논의할 방침인데, 노조가 실제 파업에 돌입할 경우 창립 55년 만의 첫 파업이 된다. 지난해 9월 태풍 ‘힌남노’ 피해로 고로를 복구한 지 채 1년이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파업을 강행할 경우 지역 경제는 물론 우리나라 경제 전반에 막대한 피해가 우려된다.

포스코 노사는 올해 20여 차례 교섭했으나 이렇다 할 합의점에 이르지 못했다. 향후 노조는 중앙노동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하고 조합원 찬반투표를 진행할 계획이다. 중노위가 조정 중단을 판단할 경우 노조는 합법적 파업권을 갖게 된다.

하지만 포스코가 처한 상황을 고려하면 노조의 파업을 선뜻 이해하기 어렵다. 포스코홀딩스의 주력 사업인 철강부문 매출은 올해 2분기 16조5470억 원, 영업이익은 1조210억 원을 기록하는 데 그쳤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 14.4%, 42.1% 감소한 수치다. 최근 실적이 개선되고 있지만, 아직 회복 초입 단계에 불과하다.

포스코 노조는 올해 임금 및 단체 협상 요구안으로 기본급 13.1% 인상, 조합원 대상 자사주 100주, 성과 보수(PI) 제도 신설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회사 측은 태풍 힌남노 피해 복구로 인해 상반기 실적이 감소한 시점에서 노조 측 요구를 들어줄 경우 경영에 어려움이 있다는 입장이다.

이를 두고 자동차와 조선 등 제조 업계는 철강 수급부터 이어지는 강판, 후판 공급까지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우려한다. 자칫 전방 산업 전체의 도미노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최근 수출 반등 없는 무역 흑자가 3개월 연속 이어지는 암울한 경제 상황이다.

포스코가 수십 년 간 쌓아온 자동차 강판 기술력은 친환경 차 시대를 맞아 빛을 발하고 있다. 1조 원을 투자한 광양제철소 전기차용 전기강판 공장도 10월 말 가동을 앞둔 중요한 시점이다.

노사 모두 강 대 강 대치로 일관한다면 결국 모두 공멸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