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65개국 누비는 수출 효자상품 '酒'

입력 2009-05-18 12:00수정 2009-05-18 16:5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소주, 막걸리, 약주 등 전세계 애주가 사로잡아

지난해 주류 수출은 22만7705㎘로 2007년 18만5,238㎘에 비해 22.9% 증가했으며 아시아 24개국을 비롯해 유럽 12개국, 아메리카 11개국, 아프리카 9개국, 오세아니아 9개국 등 모두 65개 국가에 수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세청은 주류 제조업체들이 신고한 2008년 한해 주류출고량 집계한 결과 우리나라 대표술인 소주를 비롯 막걸리, 약주 등 전통술과 맥주에 이르기까지 많은 나라의 애주가들이 ‘우리술’을 찾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18일 밝혔다.

국가별로는 일본 13만1000㎘(57.5%), 홍콩 4만5000㎘(19.9%), 몽골 1만4000㎘(6.1%), 중국 1만㎘(4.5%), 미국 9만9000㎘(4.4%)순이었다.

소주는 58개국 판매되며 수출량은 8만8836㎘로 이 수량은 소주 전체출고량의 8.9%에 해당했고 2007년 8만7664㎘에 비해 1.34% 증가했다.

한류열풍 등에 힘입어 일본 현지인 사이에서도 인기가 높은 한국소주는 국내 단일수출 품목으로 1억 달러를 초과하는 효자상품으로 국가경제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13개국에 수출되는 막걸리는 수출량이 5457㎘로 2007년 4312㎘에 비해 26.6% 급증하면서 농가소득 증대는 물론 전통주산업 활성화에 기여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막걸리 제조와 보관기술이 과학화됨에 따라 실온에서도 장기간 본래 맛의 유지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라고 국세청은 풀이했다.

와인 마니아층의 수요 확대, 소주의 저도주화 등의 원인으로 침체가 지속되고 있는 약주의 경우도 해외 신규시장 개척에 힘입어 2007년 1161㎘에 비해 2.2% 증가한 1186㎘ 수출됐다.

해외소비자 중심의 다양한 제품 개발과 신규시장 개척으로 미국, 일본, 중국은 물론 유럽·동남아시아 까지 확대됐다.

7만4467㎘ 수출로 2007년 6만389㎘에 비해 23.3% 급증한 맥주는 지난해 최대 수출국은 4만5043㎘로 전체 맥주 수출점유율 60.5%를 보인 홍콩으로 집계됐다.

몽고시장에서는 전체 맥주시장의 70%를 국산 맥주가 점유하고 있으며, 중동의 이라크까지 진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경제 불황의 여파로 사치와 문화적 이미지가 강한 위스키와 와인 등 고가주는 소비가 줄었지만 상대적으로 소주와 맥주 등 저가 대중주는 소비가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성인 1인당 연간 소비량을 보면 소주(360㎖기준)는 2007년 72.04병에서 74.40병으로 3.28% 늘었고 맥주(500㎖기준)는 106.78병에서 109.83병으로 2.86% 증가했다.

반면 위스키와 와인 소비량은 전년대비 각각 10.6%, 12.5% 감소했다. 특히 지난해 위스키 소비량은 3만1059㎘로 최근 5년간 최하 소비량을 기록했고 전체 와인소비량 중 87.3%를 점유하고 있는 수입와인은 2007년에 비해 10.5%나 줄었다.

우리나라의 전통술 ‘막걸리’는 일본에서, 일본식 청주인‘사케’는 우리나라에서 애주가들의 사랑을 듬뿍 받고 있음

일본에서는 한류 붐과 함께 발효주인 막걸리가 건강에 좋다는 인식이 널리 퍼지면서 막걸리 애호가들이 늘어나 2008년 막걸리 수출량 5457㎘ 중 약 90%를 일본에 수출하고 있으며 일본에서의 막걸리 바람에 호응이라도 하듯 일본식 청주인 '사케' 의2008년 수입량은 2007년보다 20.7% 늘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