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군 흉상 이전에…문재인 전 대통령 “독립영웅 부정하나”

입력 2023-08-28 08:4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육군사관학교 충무관 앞에 독립운동가 홍범도(왼쪽부터), 지청천, 이회영, 이범석, 김좌진 5인의 흉상이 세워져 있다. 사진제공=육군사관학교
문재인 전 대통령은 국방부가 육군사관학교(육사) 내 독립군 등 흉상 이전을 추진하는 것과 관련해 “우리 국군의 뿌리가 대한독립군과 광복군에 있음을 부정하는 건가”라고 비판했다.

27일 문 전 대통령은 페이스북에 “육사 교정 항일무장 독립운동 영웅들의 흉상 철거 움직임에 깊은 우려를 표한다”고 적었다. 이어 “국권을 잃고 만주로, 연해주로, 중앙아시아로 떠돌며 풍찬노숙했던 항일무장독립운동 영웅들의 흉상이 오늘 대한민국에서도 이리저리 떠돌아야겠는가”라며 “그것이 그분들에 대한 우리의 예훈이며 보훈인가”라고 지적했다.

앞서 국방부는 육사 충무관 중앙현관 앞에 설치된 독립운동가 흉상을 철거해 외부로 이전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전 대상에는 홍범도·김좌진·지청천·이범석 장군과 이회영 선생 흉상 등도 포함돼 논란이 일었다. 국방부는 “육사 정체성을 고려할 때 소련공산당 가입 및 활동 이력 등 여러 논란이 있는 분을 육사에서, 특히 생도교육의 상징적인 건물 중앙현관에서 기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됐다”며 흉상 이전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봉오동 전투를 이끈 홍범도 장군이 1927년 소련 공산당에 입당한 전력이 있는 점을 문제 삼은 것이다.

이와 관련해 여권 일각에서도 반대 목소리가 나왔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페이스북에서 “항일 독립전쟁의 영웅까지 공산주의 망령을 뒤집어씌워 퇴출시키려고 하는 것은 오버해도 너무 오버다”라고 지적했고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도 “그렇게 할 거면 홍범도 장군에 대한 서훈을 폐지하고 하는 게 맞지 않겠나”라고 적었다.

논란이 커지자 국방부는 “독립군과 광복군의 역사를 국군의 뿌리에서 배제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생도교육시설인 충무관 앞에 조성된 기념물들을 독립운동이 부각되는 최적의 장소로 이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