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T, "실물경기침체, 이대로가면 최소 11월까지 지속"

입력 2009-05-14 15:1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과거의 사례로 볼 때 금융시장 불안에서 비롯된 현재의 실물경기 침체가 최소한 오는 11월까지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따라서 침체된 경기흐름을 조속히 되돌리려면 은행의 건전성 강화조치와 기업 구조조정의 병행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산업연구원(KIET)은 14일 '금융불안과 실물경제간 관계분석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진단했다.

KIET는 국제통화기금(IMF) 방식으로 은행, 증권, 외환 부문의 스트레스지수를 가중 평균한 금융스트레스지수를 산정한 뒤 과거 금융위기 내지 금융불안 시기의 금융과 실물부문의 움직임을 비교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보고서는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금융스트레스지수는 지난해 10월 36.14로 임계치(33.76)을 넘은 것을 시작으로 11월 44.28로 최고치에 달했으며 12월에도 35.29로 임계치(34.25)를 넘어섰다.

그러나 1월에는 지수가 29.80으로 임계치(34.49)를 밑돌았으며 이후 3월까지 계속해서 임계치를 하회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금융시장 안정화의 원인은 국내 뿐 아니라 미국 등 각국 정부의 경제위기 대응 정책과 유동성 확대 정책 등에 기인한다고 KIET측은 설명했다.

KIET는 2001년 IT버블붕괴로 인한 금융불안시기를 제외하고는 1997년 말 IMF 금융위기와 2003년 카드사태 등의 사례를 근거로 실물경기의 위축이 금융스트레스지수가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1년까지는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따라서 이러한 경향이 이번 경기침체에도 적용된다면 최소한 11월까지는 실물경기 위축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다.

KIET는 아울러 "실물경제 중에서도 부도 관련 지표에 비해 생산, 고용, 투자 부문이 위기 이후 시차를 두고 느린 회복세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며 "금융불안 이후 시차를 두고 나타나는 실물경제 악화 경향과 금융시장의 잠재적 불안요인 등을 감안하면 이번 위축은 일정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아울러 최근 시행된 각국의 정책 공조와 정부의 적극적 대응에 힘입어 금융시장이 안정세를 유지하고 실물경제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도 완화됐으나, 아직 금융 및 실물부문에 추가적인 불안요인 가능성은 상존한다고 KIET는 진단했다.

특히 영국과 동유럽 일부 국가에서의 IMF 구제금융 요청과 같은 해외 발 금융위기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존재하는데다 미국발 금융위기로 인한 세계적인 경기침체가 장기화된다면 실물경제의 둔화가 상당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KIET는 "금융과 실물간 선순환 구조 확립을 위해 부실채권의 효율적 처리와 금융시장의 비효율성 제거를 통한 은행 건전성 확보와 기업의 체질개선을 위한 구조조정으로 재도약 기틀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핵심부품·소재의 원천기술 경쟁력을 확보하여 수입대체를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한편, 해외 원자재 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원자재 수급의 안정성을 제고함으로써 향후 환율 급변에 따른 손실을 최소화하려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