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치료제 ‘리리카’, 말초신경병증성 통증에도 효과

입력 2009-05-13 15:4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국화이자제약의 신경병증성 통증 및 섬유근통증후군 치료제 ‘리리카(Lyrica, pregabalin)’가 외상 후 말초신경병증성 통증(post-traumatic peripheral neuropathic pain, PTPNP)을 앓고 있는 환자의 통증 감소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발표됐다.

지난 4월 29일, 시애틀에서 개최됐던 연례 미국신경과학회의 발표에 따르면 외상 후 말초신경병증성 통증 환자에게 리리카를 투약한 결과, 신경병증 통증을 유의하게 감소시켜 주었을 뿐만 아니라 통증으로 인한 수면 방해가 감소했으며 위약군과 비교해(41%) 더 많은 수의 환자들이(64%) ‘전반적으로 개선되었다’고 응답했다.

연구 종료 시점에서 리리카를 투약한 환자들은 11 점짜리 통증 척도에서 위약군에 비해 평균적으로 0.62점 낮은 통증 점수를 나타냈다. 통증으로 인한 수면방해 점수에서도 2.73점(베이스라인 점수 4.1, 11점 만점, 지난 24시간 동안 통증이 얼마나 수면에 방해가 됐는지 측정)을 기록해 위약군의 4.13점(베이스라인 점수 4.8)에 비해 개선된 것으로 측정됐다.

외상 후 말초신경병증성 통증은 사고나 수술로 인한 외상에 의해 생긴 신경 손상으로 일어나며 치료가 매우 까다로운 질환이다.

또한 외상 부위에 나타난 최초의 신경 손상이, 외상이 회복된 후에도 장기적으로 남아 있는 만성 질환이다. 외상이 중추신경계(뇌, 척수)를 비롯해 모든 신체 부위와 신호를 주고 받는 말초신경계의 변화를 일으켜, 이러한 지속적인 통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외상 후 말초신경병증성 통증은 광범위한 증상을 수반하는데, 무감각, 저림과 찌릿찌릿한 느낌, 그리고 무언가가 찌르는 듯한 느낌과 압통 등의 증상이 있을 수 있으며 작열통과 같이 극심한 증상을 수반하기도 한다.

네덜란드에 소재한 암피아 병원의 마취과 및 통증 연구 센터 원장인 로버트 반 세벤터 박사는 이번 발표에 대해, “외상 후 말초신경병증성 통증은 매우 치료하기 어려운 질환 중 하나인데, 리리카가 환자들의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다는 이번 연구 결과는 매우 고무적이다”라며 “외상 후 말초신경병증성 통증으로 고통 받는 많은 환자들에게 매우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