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디스플레이 2분기 영업손실 8815억 원…5개 분기 연속 적자

입력 2023-07-26 13:54수정 2023-07-26 15:3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매출 4조7386억 원 기록…재고 수준 감소
OLED TV 등 중대형 제품군 출하 확대
수주형 사업, OLED 중심 사업구조 고도화 지속
IT OLED 내년 양산ㆍ공급체제 적기 준비

(뉴스1)

LG디스플레이가 5개 분기 연속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다만 올해 2분기 영업손실이 지난 1분기 대비 1200억 원 이상 축소되는 등 수익성은 개선되고 있다.

LG디스플레이는 26일 올해 2분기 매출 4조7386억 원, 영업손실 8815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5.5% 감소했다. 영업손실은 지난해 1분기 4883억 원보다 늘었다. 전분기와 비교해서는 매출이 7% 증가했고, 영업손실은 1280억 원 축소됐다.

​LG디스플레이는 "지난해부터 TV, IT 제품을 중심으로 전방 산업의 강도 높은 재고 조정이 계속되며 산업 생태계 전반의 패널 재고 수준이 낮아졌다"며 "2분기에는 OLED TV를 포함한 중대형 제품군의 패널 구매 수요가 늘어났고 출하가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분기 대비 출하 면적이 11% 확대됐고 원가 혁신, 재고 관리 강화, 운영 효율화 등 비용 감축 활동으로 손실 규모가 축소됐다"고 덧붙였다.

​2분기 제품별 판매 비중(매출 기준)은 TV용 패널 24%, IT용 패널(모니터, 노트북PC, 태블릿 등) 42%, 모바일용 패널 및 기타 제품 23%, 차량용 패널 11%이다.

​LG디스플레이는 ‘수주형 사업’ 중심의 ‘사업구조 고도화’를 지속 추진하고 OLED 사업의 비중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물동과 가격을 안정적으로 운영해 나갈 수 있는 수주형 사업의 전사 매출 비중은 올해 40% 수준을 넘어설 전망이다. LG디스플레이는 내년에 수주형 상버 비중을 50% 이상으로 확대할 전망이다. 향후 2~3년 이내에 70% 수준을 목표로 하고 있다.

​대형 및 중소형 전 제품군에서 OLED 비중과 사업 경쟁력도 높여 나갈 계획이다. LG디스플레이는 올해 OLED의 전사 매출 비중이 5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중소형 OLED 부문에서는 증설된 생산능력을 기반으로 모바일 제품 출하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IT OLED 기술 리더십을 더욱 공고히 해 내년 양산ㆍ공급체제를 차질없이 준비해 나갈 계획이다. 차량용(Auto) 디스플레이 사업은 텐덤(Tandem) OLED 및 하이엔드 LCD를 아우르는 다양하고 차별화된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매출과 수주 확대에 집중해 세계 1등 업체로서의 위상을 한층 강화한다.

대형 OLED 부문에서는 OLED만의 근본적 경쟁력을 기반으로 프리미엄 TV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게이밍 및 투명 OLED와 같은 신시장을 적극 공략한다.

김성현 LG디스플레이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지난해부터 지속된 전방 산업의 재고 조정이 상반기를 기점으로 상당 부분 진행된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하반기에는 산업 생태계 전반의 재고 건전성 회복에 따른 패널 구매 수요 증가가 기대되고 모바일 제품 출하 증가 등 수주형 사업 성과 확대에 힘입어 4분기 흑자 전환을 예상한다”고 밝혔다.

그는 “거시경제 환경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지만, 사업구조 고도화를 가속화하고, 재무건전성을 강화하며 사업성과를 개선해 나가겠다”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