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합'은 회의적...산은 "M&A 논의 시기상조"
민영화를 추진중인 산업은행이 최근 은행 인수를 공식화하면서 기업은행 인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산업은행의 민영화와 관련 인수합병(M&A) 논란이 다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국책은행인 기업은행과의 M&A 가능성이 부각되고 있다.
금융권에 한 관계자는 "증권업계를 비롯해 금융권 일각에서 산업은행의 '기업은행 인수설'이 솔솔 흘러나오 있다"면서 "그 진위를 떠나 추진 가능성이 충분히 있는 만큼 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고 전했다.
이는 당초 글로벌 투자은행(IB) 육성을 표방했던 산업은행이 금융위기 이후로 투자은행 회의론에 부딪혀 마땅한 대안을 찾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역시 민영화를 추진하고 있는 기업은행과의 합병 가능성이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그동안 정부는 기업은행의 경우 우선순위를 늦추고 신중하게 접근했던 게 사실이다. 하지만 최근 산은 민영화가 난관에 부딪히자 보다 폭넓게 대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외환은행의 경우 여러가지 측면에서 '궁합'이 가장 잘 맞는 게 사실이지만, 인수가격이 최소 50억달러에서 60억달러 수준에 이를 전망이어서 이보다 가격 부담이 적은 기업은행을 대안으로 저울질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더불어 거액을 들여 외환은행을 인수할 경우 자칫 외환은행의 대주주인 론스타의 '먹튀'를 도왔다는 비판도 큰 부담인 게 사실이다.
이에 대해 산업은행은 은행 인수 논의 자체가 시기상조라는 입장이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산업은행의)기업은행 인수 가능성은 근거없는 얘기"라면서 "현재로서는 은행 인수를 논하는 것 자체가 시기상조"라고 일축했다.
그는 이어 "다만 최근 행장께서 은행과의 전략적 M&A를 거론한 것은 어디까지나 원론적인 얘기"라면서 M&A 논란에 선을 그었다.
기업은행도 산은의 인수가 달갑지 않기는 마찬가지다. 기업은행은 민영화와 관련해해서는 전혀 언급이 없지만 내심 연기금이나 공공성을 지닌 펀드를 통한 자체적인 민영화를 기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 민영화와 관련 양측의 동상이몽에도 불구하고 뚜렷한 산은 민영화 방안이 모색되지 않는 한 산은의 '기업은행 인수설'은 꾸준히 제기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