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트라우마 걱정, 근조 화환 그만" 학부모 호소글…비판 여론에 삭제

입력 2023-07-21 06:50수정 2023-07-21 07:1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0일 오후 신규교사가 극단적 선택을 한 서울 서초구 서이초등학교 앞에서 열린 추모행사에 추모객들의 추모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서울 서초구 한 초등학교 교사가 학교 내에서 극단적 선택을 한 사건으로 학교 안팎에 추모 물결이 이어지는 가운데 한 학부모가 '아이들에게 트라우마가 생기니 화환을 보내지 말라'는 내용의 글을 올렸다가 논란이 일자 삭제했다.

사건이 발생한 초등학교의 학부모라고 밝힌 A 씨는 20일 서초구의 한 맘카페에 '부디 화환과 꽃다발을 멈춰주세요'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A 씨는 "가슴 아픈 일이다. 반드시 진실이 밝혀져야 한다"면서도 "교문에는 슬픔의 국화꽃이 놓이기 시작했고, 학교를 빙 둘러 화환들이 쌓이고 있다. 기자들과 유튜버, 근조 화환을 뚫고 제 아이를 어떻게 등교시켜야 할지 모르겠다"고 걱정했다.

이어 "국화꽃을 놓는 마음을 모르는 게 아니다"라면서 "이 학교는 절대 일어나선 안 되는 슬픈 일이 생긴 곳인 동시에 또한 어떤 어린이들의 생활공간이기도 하다. 아이들에게 트라우마 없이 사건을 잘 설명하기란 생각보다 쉽지 않다"고 강조했다.

A 씨는 또 "큰 슬픔과 대의가 먼저니까 작은 슬픔은 너희들이 알아서 하라는 해결책 때문에 우리 모두 유소년기 트라우마를 한두 개씩 안고 살기 시작한 거 아니겠냐"라며 "저희에게 부디 조금의 시간을 달라. 어른들의 급한 슬픔으로 어린이들의 생활공간을 덮지 말아 달라. 제발 부탁드린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A 씨는 "학교를 가득 덮고 있는 근조화환의 크기가 우리가 느끼는 슬픔의 크기를 대변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근조화환을 멈춰달라는 것이 애도를 멈추라는 뜻으로 해석되지 않았으면 한다"고 양해를 구했다.

하지만 이후 이 글을 접한 대다수의 카페 회원과 네티즌들은 A 씨가 자기 아이만 생각한다며 비판을 쏟아냈다. 이들은 "지금은 아이보다 돌아가신 선생님을 먼저 생각해야 할 때", "어떻게 하면 자신이 덜 나빠 보일지 신경 써서 글 쓴 게 티 난다", "아이들도 선생님에 대한 추모가 필요하다", "떠난 교사도 어느 부모의 소중한 아이", "내 아이 트라우마 생기니까 방학 때 추모하란 거네" 등의 반응을 보였다.

A 씨의 입장에 공감하는 의견도 있었다. 일부는 "제 아이도 저학년이라 아직 설명을 못 했다. 아이들이 받을 충격도 걱정된다", "학교에서 며칠 휴교하면 좋을 것 같다" 등 A 씨의 입장에 공감하는 의견도 있었다.

논란이 커지자 A 씨의 글은 현재 삭제된 상태다.

앞서 서울시교육청 등에 따르면 18일 오전 서초구의 한 초등학교 교내에서 이 학교 1학년 담임인 B(23) 씨가 사망한 채 발견됐다.

교육계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A 씨가 교단에 선 지 얼마 안 됐는데 학부모의 민원에 시달렸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유서도 발견되지 않아 경찰이 사망 원인을 밝히기 위해 수사 중이다.

서울시교육청 측은 "학교 구성원의 심리 정서 안정 지원, 학교의 정상적인 교육활동 지원을 위한 조치를 모색 중"이라고 밝혔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으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면 자살예방 핫라인 ☎1577-0199, 자살예방 상담전화 ☎1393, 정신건강 상담전화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청소년 모바일 상담 '다 들어줄 개' 어플, 카카오톡 등에서 24시간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일 오후 신규교사가 극단적 선택을 한 서울 서초구 서이초등학교 앞에서 열린 추모행사에서 추모객들이 헌화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