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고 감소, 반도체 업황 회복 사이클 진입 신호로 읽혀
![](https://img.etoday.co.kr/pto_db/2023/01/600/20230126091317_1845236_647_431.jpg)
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2분기 영업실적 발표를 앞두고 재고자산 감소 여부가 주목받고 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반도체, SK하이닉스의 재고자산은 반도체 업황 회복 시점을 가늠하는 잣대가 될 수 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재고는 반도체 수요 침체로 지난해 하반기부터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삼성전자 DS(반도체) 부문 재고자산은 지난해 말 29조576억 원에서 올해 1분기 31조9481억 원으로 9.9% 증가했다. DS 부문의 재고 비중은 삼성전자 전체 54조4195억 원의 58.7%로 절반이 넘었다.
삼성전자 DS 부문의 올해 1분기 말 기준 재고자산은 1년 전 18조7952억 원과 비교해 69.9% 급증했다.
SK하이닉스의 재고자산도 꾸준히 늘었다. 지난해 말 기준 15조6647억 원이었던 재고자산은 올해 1분기까지 3개월간 9.7% 증가한 17조1822억 원을 기록했다. 1년 전 10조3926억 원보다 65.3% 증가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는 다음 달 말께 2분기 보고서에 재고자산을 집계해 공시한다. 재고자산이 감소하면 반도체 업황이 회복 사이클에 진입했다는 신호로 읽힐 수 있다.
다만 업계에선 2분기에 재고자산 감소는 미미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재고자산 감소는 삼성전자가 지난 4월 초 발표한 인위적 감산과 연관이 깊다. 메모리 감산 효과가 본격적으로 반영되려면 통상 3~4개월이 걸린다. 웨이퍼 투입에서 메모리 칩 생산까지 약 3개월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고객사들의 메모리 반도체 재고 조정 분위기는 뚜렷해지고 있다”면서도 “공급사들의 재고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으려면 3분기는 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