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단 기업겨냥 '구조조정 칼날' 전방위 확산

입력 2009-04-30 16:45수정 2009-05-01 12:2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은행권, 철저한 구조조정 합의...건설·조선사도 상시평가

은행권이 기업구조조정을 철저하게 추진하기로 합의하고 대기업은 물론 1차 구조조정이 완료된 건설·조선사들도 지속적인 구조조정을 추진할 방침이다.

김종창 금융감독원장과 국내 주요 은행장들은 지난 달 30일 오후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간담회를 갖고 기업 구조조정과 관련 철저한 이행을 다짐했다.

이날 회의에는 김 원장과 김용환 수석부원장을 비롯해 기업재무개선정책관, 은행업본부장 등 정부당국자 4명이 참석했으며, 은행권에서는 국민, 우리, 신한, 하나, 기업, 광주, 농협 등 은행장 9명과 채권금융기관조정위원회 위원장이 참석했다.

이날 회의에서 은행장들은 채권금융기관협의회를 더욱 활성화시켜 제2금융권과의 유기적인 협조를 할수 있도록 금융당국에 애로사항을 호소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은행뿐만 아니라 상호저축은행과 보험 등 제2금융권의 채권금융기관들과의 협조가 원활하지 못해 구조조정 대상을 선정함에 있어 애로사항이 있기 때문이다.

은행연합회 관계자는 "삼릉건설의 경우 은행권의 채권비율이 48%에 불과해 제2금융권에서 동의하지 않아 워크아웃 추진이 불발됐다"면서 "구조조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려면 은행권은 물론 제2금융권과의 유기적인 협조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부실기업의 경영자가 법정관리 기업의 관리인으로 선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관계 당국의 협조도 요청했다.

은행연합회 관계자는 "부실기업의 경영자가 관리인으로 선임되는 일이 있는데, 이를 막기 위해 채권금융기관이 법원에 의견을 적극 개진할 수 있도록 관계 당국의 협조를 요청했다"고 말했다.

이밖에 은행권은 1차 구조조정이 완료된 건설 및 중소조선사들에 대해서도 상시적인 구조조정을 추진할 것으로 알려졌다.

즉 1차 신용위험평가의 경우 금융위기 이전인 지난해 3분기 경영지표가 반영된 만큼 지난해 4분기 이후 경영지표를 적극 반영해 지속적인 구조조정을 추진할 방침이다.

은행연합회 관계자는 "1차 구조조정이 끝난 건설 및 중소조선사들도 신규 자금을 요청하거나 유동성 우려가 제기될 경우 추가적인 구조조정 대상이 될 수 있다"며 "상시적인 구조조정이 지속될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따라서 1차 평가 대상으로 선정된 400개 대기업에 대한 구조정을 비롯해 금융권의 구조조정 '칼날'은 전 산업으로 더욱 강도높게 확산될 전망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