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승찬의 미-중 신냉전, 대결과 공존 사이] 16. 美 월가와 中 공산당의 밀월여행(상)

입력 2023-04-20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美와 정치·군사·경제 갈등 때마다 중재자 역할…中에 월가 인사들은 ‘라오펑유(老朋友)’였다

3월 31일 미국의 대중 제재 중심에 서 있는 중국 최대 통신기업인 화웨이의 2022년 영업실적 발표회가 있었다. 화웨이의 최고재무책임자(CFO)인 멍완저우 순환회장은 발표회에서 “겨울 눈이 내린 뒤 매화 나뭇가지가 눌려 있지만, 봄이 오니 햇볕이 내리쬔다(雪后疏梅正压枝,春来朝日已晖晖)”라는 표현으로 화웨이가 처한 입장을 우회적으로 표현했다. 겨울 눈은 미국의 압박과 제재를, 매화는 화웨이를 의미하는 이 문장의 핵심은 미국의 제재에 대응해 굴하지 않고 끊임없는 기술개발과 국산화 노력을 통해 성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대외적으로 내비친 것이다. 이날 발표된 실적을 보면 2022년 화웨이 글로벌 매출은 미국 제재에도 불구하고 6423억 위안(약 122조2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0.9% 증가했고, 순이익은 356억 위안(약 122조2000억 원)을 기록했다. 시장에서는 미·중 신냉전 속에서 멍 순환회장의 적극적인 기술투자와 발 빠른 첨단제품 출시 등 공격적인 행보에 기인한 결과라고 평가하고 있다. 작년 화웨이 전체 글로벌 매출의 25.1%인 1615억 위안(약 30조7500억 원)을 연구개발(R&D) 비용으로 투자한 것도 멍 회장의 의지가 적극 반영된 것이다.

멍완저우 회장 석방에 결정적 역할

멍 순환회장은 미국이 이란 제재법 위반 혐의로 발부한 체포영장에 따라 2018년 12월 캐나다 밴쿠버공항에서 체포되어 가택연금 상태에서 2년 9개월 만인 2021년 9월 석방될 때까지 세간의 주목을 받은 인물이다. 당시 멍 부회장의 석방을 두고 미·중 간 물밑협상이 매우 긴박하게 진행되었다. 2021년 9월 바이든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 간 통화에서 시 주석이 멍 부회장 석방문제를 거론했다고 백악관 대변인이 공개적으로 언급하면서 그녀의 향후 행보에 전 세계가 주목했었다. 대외적으로 미국·중국·캐나다 간 내부조율 끝에 멍 부회장이 석방되었다고 알려져 있지만, 사실 중재자 역할을 한 월가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당시 골드만삭스 최고경영자(CEO) 출신인 광산기업 배릭골드 이사회 회장 존 손턴의 역할이 결정적이었다. 손턴 이사장은 멍 부회장이 석방되기까지 수차례 베이징을 방문해 공산당 고위층과 만나며 중재자 역할을 했다. 그뿐만 아니라 중국 경제성장과 미·중 관계 전반에 걸쳐 월가는 핵심적 역할을 해오고 있다. 중국이 경제 대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었던 결정적인 계기가 된 중국의 세계무역기구(WTO) 가입도 월가가 나서서 당시 클린턴 행정부를 설득해서 가능했고, 2018년 미·중 무역전쟁이 일어나고 트럼프 행정부와 왕치산 부주석, 류허 부총리의 만남을 주선한 것도 바로 월가였다는 것은 공공연한 비밀로 알려져 있다. 중국공산당은 월가의 도움을 받아 미국 정계와의 네트워킹을 강화하고, 월가는 공산당과의 결탁을 통해 중국시장에서 더 많은 부를 축적하는 상생의 협력 관계였던 것이다. 또한 공산당 자본의 글로벌 유출 통로가 월가와의 관계 속에서 생성되기도 한다는 사실이다.

▲지난달 31일 화웨이 2022년 영업실적 발표회에서 발언하고 있는 멍완저우 최고 재무책임자(CFO). 그가 2021년 9월 이란 제재법 위반 혐의로 2년 9개월 간의 가택연금 상태에서 석방된 데는 미국 월가 실력자들의 중재 역할이 컸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합뉴스

新중국 성립 전부터 월가·공산당 접촉

월가와 공산당의 관계는 매우 오랜 시간 깊고 두텁게 형성되어 왔다. 신중국이 성립되기 전인 1945년 이전부터 공산당과 미국의 접촉은 시작되었다. 1945년 12월 미국은 공산당에 특사를 파견해 상호 협력의 접점을 찾으려고 했다. 미국은 향후 마오쩌둥의 공산당과 협력 가능성을 타진하는 차원이었고, 중국은 미국 자본과 기술을 통해 경제성장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1950년 한국전쟁에 중공군이 참전함으로써 미국은 이념적 대립 관계인 소련과 중공, 북한을 적대 국가로 편성했다. 그러나 1969년 닉슨 대통령은 긴장과 대결의 냉전체제를 청산하자는 이른바 ‘닉슨 독트린’을 발표했다. 당시 미국은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는 시위가 연일 계속되었고 경제도 해외 군사비 지출 등으로 어려운 상태에 있었다. 닉슨 대통령으로서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 미국은 하루빨리 베트남 전쟁을 종결하고 냉전체제를 해소하고 싶었다. 중국은 우수리강을 사이에 두고 소련과 영토분쟁을 하며 대립하고 있었고, 동반자였던 소련이 이제는 중국을 위협하는 나라로 바뀌면서 미국이라는 강대국과의 관계 개선을 통해 소련을 경계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결국 1972년 2월 26일 닉슨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하면서 역사적인 전환의 계기를 마련하게 된다. 바로 미·중 양국의 20여 년간 적대관계를 청산하는 상하이 공동성명을 발표한 것이다. 이는 미·중 경제교류의 출발점이 되었고 상호 이익을 위한 무역 및 경제교류를 활성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수교도 되지 않은 상태에서 중국은 미국의 기술과 설비를 도입할 수 있었고, 미국 자본가들은 중국 시장을 기회의 땅으로 보면서 월가와 공산당의 공생 관계가 싹트기 시작했다. 1978년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정책의 추진과 함께 미·중 자본과 산업협력도 본격화되면서 1979년 1월 1일 미·중 양국은 역사적인 수교를 하기에 이르렀다. 중국이 달러 패권 속으로 들어가면서 미·중 사이의 상호 경제 의존성과 산업의 동조화가 본격화하기 시작한 것이다.

덩샤오핑 개혁개방 이후 밀월 본격화

1990년대에 들어오면서 덩샤오핑의 선부론과 남순강화의 기치 아래 상하이를 중심으로 하는 연해지역 개방이 가속화되면서 양국 간 교류가 활성화되었다. 특히, 월가는 공산당과 미국 정계를 이어주는 핵심 연결고리 역할을 하며 양국 정부로부터 신뢰를 얻게 된다. 중국인민대학 국제관계학원 디동성 부원장은 2020년 11월 한 포럼에서 “1990년대 미·중 협력과 갈등에는 미국 권력 내부에 공산당에 우호적인 ‘라오펑유(老朋友, 오래된 친구)’가 많아서, 미·중 관계는 갈등 국면이 있을 때마다 그들이 중간에서 가교 역할을 하며 문제를 풀어나갔다”고 설명한 바 있다. 1993년 7월 은하호 수색 사건, 1999년 5월 세르비아 중국 대사관 오폭 사건, 2001년 4월 남지나해 군용기 충돌사건 등 미·중이 정치·군사·경제 등 다양한 영역에서 충돌이 있을 때마다 라오펑유가 중재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 중국에서 ‘라오펑유’라는 말은 일반적으로 1~2년 정도의 ‘꽌시(關係)’에서는 잘 쓰지 않는다. 오랜 시간과 상호이익의 공유를 통해 구축된 관계망에서 쓸 수 있는 말이다. 다시 말해 월가의 자본가들과 공산당은 오랜 기간 서로 소통하고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며 함께 성장해 왔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디 부원장은 바이든 대통령 아들의 사업도 공산당과 결탁되어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암시하기도 했다. 당연히 디 부원장의 발언은 큰 파장을 불러왔다. 얼마 되지 않아 월스트리트저널은 ‘중국은 힘센 친구 월가를 미국에 두고 있다’라는 제목으로 관련 기사를 게재했다. 그도 그럴 것이 디 부원장이 시 주석 및 고위 공산당 간부의 정책자문을 맡고 있고, 원장인 스인홍 교수는 공산당의 공식 고문 역할을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2018년 2월 백악관 초청으로 미국을 방문한 류허 부총리는 별도의 시간을 내어 워싱턴 옴니쇼럼호텔에서 월가의 대표적 투자은행 CEO들을 만났다. 데이비드 솔로몬 골드만삭스 회장, 제이미 다이먼 JP모건 회장, 래리 핑크 블랙록 회장 등 월가의 대표적인 인물들을 만난 것이다. 이유는 간단하다. 항상 그랬듯이 공산당의 ‘라오펑유’인 월가의 자본이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국 압박이 완화될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요청했다. 중국은 미·중 전략경쟁에서 월가의 도움이 필요했고, 중국의 입장을 트럼프 행정부에 대신 전달해 달라는 것이었다. 그 대가로 중국 금융시장을 개방하고, 그 혜택을 월가 자본이 챙겨가는 구조인 것이다.

미·중 대립에도 변함없는 원리 작동

2018년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를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하자, 중국도 보복관세를 부과하면서 무역전쟁이 발발하게 되면 결국 미국 경제에도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적극 반대한 사람이 있었다. 바로 핵심참모였던 당시 게리 콘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이었다. 콘 위원장도 골드만삭스 회장 출신으로 월가의 대표적 인물이자 친중 비둘기파라고 볼 수 있다. 그는 결국 반중 매파들의 비판 속에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직을 내려놓았지만, 계속해서 월가 자본과 공산당의 중재자 역할을 하며 중국사업을 키워가고 있다. 이처럼 월가와 공산당의 밀월관계는 쉽게 무너지지 않을 것이다. 미·중 대립과 충돌이 심화하고 있는 지금도 변함없이 이런 원리는 작동되고 있다.

박승찬

중국 칭화대에서 박사를 취득하고, 대한민국 주중국 대사관에서 경제통상전문관을 역임했다. 미국 듀크대 방문학자와 함께 사단법인 중국경영연구소 소장과 용인대학교 중국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고 현재 미주리 주립대학에서 미중기술패권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미중패권전쟁에 맞서는 대한민국 미래지도, 국익의 길> 등 다수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