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폭스’ 확진자 3명 늘어 총 13명…피부·성접촉 등 ‘밀접접촉’ 주의

입력 2023-04-17 17:4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뉴시스

해외여행력 없는 확진자 증가…지역사회 감염 추정
방역당국 “모르는 사람과 밀접접촉 주의”

국내에서 해외여행 이력이 없는 엠폭스(원숭이두창) 확진자가 3명 더 늘었다.

17일 질병관리청은 국내 엠폭스 추정 환자가 3명 추가 발생해, 누적 확진자 수가 총 13명이 됐다 밝혔다.

이번에 확인된 11번째 환자는 서울에 거주 중인 내국인으로 인후통과 피부병변을 호소하며 병원을 찾았다. 의료진이 엠폭스 감염을 의심해 지난 14일 관할 보건소로 신고, 검사 후 같은 날 확진 판정을 받았다.

12번째 환자와 13번째 환자는 경남에 거주하는 내국인이다. 12번째 환자는 피부병변과 통증으로 지난 14일 질병관리청 콜센터에 검사를 문의했다. 잠복기 내 위험 노출력이 있어 의사환자로 분류됐다가 15일 확진 판정을 받았다.

13번째 환자는 12번째 환자의 역학조사 중 확인됐다. 피부병변 등 의심증상이 있어 즉각 검사를 진행했고 15일 확진 판정을 받았다. 세 환자 모두 최초 증상이 나타나기 전 3주 동안 해외 여행력이 없어 국내 감염으로 추정되는 상황이다.

앞서 지난해 6월 이후 발생한 확진자 중 1~5번째 확진자는 해외유입 사례이거나 해외유입 확인자를 통해 접촉한 의료진이었으나 6번째 확진자부터는 국내에서 전파된 사례로 파악됐다. 엠폭스는 잠복기가 최대 3주여서 확진자가 3주 전 누굴 만났는지 조사해 감염원을 찾기가 쉽지 않다. 질병관리청은 의심 증상 시 환자가 방문할 가능성이 큰 감염내과, 피부과, 비뇨의학과, 항문외과 등 피부병변을 진료하는 의료인들에게 엠폭스 의심증상 자료를 배포하고 적극적으로 의심환자를 신고해달라고 요청했다.

아울러 당국은 클럽, 목욕·숙박시설 등 엠폭스 고위험군 이용 시설에 감염 예방수칙 준수 관련 고위험군 대상 안내문을 제작해 배포하는 등 홍보를 강화하고 있다. 고위험군이나 피부발진·발열 등 유증상자에게는 △익명인 사람 피부·성접촉 삼가 △피부병변을 긴팔 옷 등으로 감싸 직접 접촉이 없도록 주의 △손 씻기 준수 등을 당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