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자교 짓고 폐업한 설계사, 올림픽·서해대교도 설계

입력 2023-04-10 10:3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5일 오전 9시 45분께 붕괴해 한쪽 보행로가 무너진 성남시 분당주 정자동에서 탄천을 가로지르는 정자교(연합뉴스)
분당 정자교 붕괴 사고로 2명의 사상자가 나온 가운데, 정자교를 설계한 회사가 국내 주요 대교를 담당했던 사실이 드러났다.

정자교 설계사로 알려진 삼우기술단은 1993년 정자교를 설계하고 2년 뒤인 1995년 자금난으로 폐업했다. 폐업 전 서울 올림픽대교와 부산 광안대교, 서해대교 등의 설계도 맡았다

업계에 따르면 삼우기술단은 1978년 종합건설용역업체로 출범해 중앙고속도로, 해운대 신시가지 조성사업 등 전국 대형공사 설계와 감리를 수행했다.

당시 국내 엔지니어링 업계 선두에 있던 업체였으나, 방만 경영, 자회사 경영 악화, 중국 투자 등 무리한 사업 확장 등으로 인한 자금난을 극복하지 못하고 1995년 7억 원 규모 만기어음을 막지 못해 부도를 냈다.

무너진 분당 정자교 이외에 보행로 기울어짐 현상으로 통제된 정자교 인근 수내교와 불정교 역시 삼우기술단이 설계한 것으로 알려졌다.

세 교량은 모두 프리 스트레스 콘크리트(PSC) 슬래브 공법과 캔틸레버구조로 설계됐다. 차도 아래만 교각이 받치고 보행로는 교각 없이 차도에 매달리는 형식이다.

경기도와 성남시 등이 밝힌 내용에 따르면 분당신도시 조성과 함께 탄천에 설치된 교량 대부분에 PSC 슬래브 공법이 적용됐다. 서울시의 반포·행주대교 등 대형 교량에도 해당 공법이 사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전문가들은 공법 자체가 문제가 있다기보다는 설계 반영 과정에서 문제가 생겼을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한다.

이에 성남시는 지역 내 211개(분당구 164개, 수정구 21개, 중원구 26개)의 모든 교량에 대해 긴급 점검에 들어간다. 탄천 위를 가로지르는 교량 중 삼우기술단이 설계한 교량이 더 있는지 확인하고, 분당지역 탄천에 있는 교량 20개에 대해서는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자교와 같은 방식으로 설계된 16개 교량에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구조물(잭서포트)을 설치하기로 했다.

경찰은 붕괴 사고의 원인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위해 정자교 발주부터 시공, 감리, 유지관리까지 전방위적으로 조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