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 10명 중 7명은 연고지 있는 곳으로…평균 준비 기간은 2년

입력 2023-03-02 16:5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귀농 5년 차 연 평균 소득 3206만 원…생활비는 도시보다 30%↓

▲지난해 '농촌에서 살아보기' 귀농·귀촌형 최우수 운영마을로 선정된 횡성 산채마을. (사진제공=농림축산식품부)

지난해 귀농을 선택한 10명 중 7명은 연고지가 있는 곳으로 이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의 평균 준비 기간은 점차 짧아져 2년으로 줄었고, 5년 차의 평균 소득은 3206만 원으로 생활비는 도시에 비해 30%가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 같은 내용의 2022년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를 2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0월부터 12월까지 최근 5년간 귀농·귀촌한 6000가구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조사 결과 귀농·귀촌은 도시 생활 이후 연고가 있는 농촌으로 이주하는 U형 경향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귀농은 U형이 2018년 53%였지만 지난해에는 70.7%까지 증가했다.

귀농·귀촌 준비 기간은 감소 추세다. 2018년 27.5개월이었던 귀농 준비 기간은 지난해 24.5개월로, 21.2개월이었던 귀촌 준비 기간은 15.7개월로 조사됐다. 귀농 가구의 50.0%, 귀촌 가구는 5.7%가 이주 전 관련 교육을 받았다고 답했다.

귀농·귀촌을 할 때 연 평균 가구소득은 매년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귀농 첫해 소득은 2268만 원이지만 5년차가 되면 3206만 원으로 늘어나고, 귀촌도 첫해는 3521만 원에서 5년차에는 4045만 원으로 증가했다.

월평균 생활비는 귀농 183만 원, 귀촌 216만 원으로 이전 생활비 265만 원, 258만 원에서 각각 30.9, 16.3% 줄어들었다.

귀농·귀촌에 대한 만족도는 귀농 67.2%, 귀촌 67.4%로 전반적으로 만족한다고 답했다. 귀농 가구는 67.8%, 귀촌 가구는 49.8%가 지역 주민과 관계가 좋다고 응답했고, 갈등이 발생하는 원인으로 마을 공동시설 이용 문제, 생활방식에 대한 이해 충돌이 지목됐다.

귀농의 이유는 자연환경(32.4%), 농업의 비전 및 발전 가능성(21.0%), 가업승계(20.0%) 순이었고, 귀촌 이유는 농산업 외 직장 취업(22.6%), 자연환경(14.1%), 정서적 여유(13.2%) 등이었다.

귀농·귀촌 가구는 농촌 생활 정착을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 농지·주택·일자리 등 정보제공과 자금지원을 꼽았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는 귀농·귀촌 관련 정보 제공 기능을 개선하고, 귀농인의 영농활동 지원을 강화해 희망자의 사전 준비와 안정적 정착을 중점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