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23/02/600/20230209154120_1850617_1200_717.jpg)
서울시가 정부의 지하철 무임수송 국비 지원을 받기 위해 전방위적 지원 요청에 나서고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국회에서 기획재정위원장을 만난 데 이어 오신환 정무부시장은 교통법안심사소위원회 위원장을 찾았다.
오 시장은 국비 지원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계속해서 내놓고 있다. 8일 국회 윤영석 기획재정위원장을 무임수송 국비지원 협조를 요청한 데 이어 9일에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지방이라도 먼저 지원해주십시오'라는 글을 올렸다.
오 시장은 "서울만 문제가 아니다. 부산지하철은 무임승차로 인한 적자가 전체 적자의 40%를 차지한다"며 "서울이 어렵다면 지방이라도 먼저 지원해달라"며 비수도권 지하철까지 확대하고 나섰다. 그러면서 "서울이냐 지방이냐가 중요한 게 아니라 비정상을 정상으로 바로잡는 게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서울시장으로서 물가 급등 상황에서 교통비가 올라 시민들께서 고통 받는 걸 그대로 지켜만 볼 수 없다. 특히 서울 지하철은 개통한지 50년이 다 돼 투자할 곳도 많은데 평균 운임이 원가의 절반에도 못 미쳐 이대로는 운영할 수 없다”며 “국가 전체의 지속가능한 대중교통을 위해 기획재정부의 숙고를 촉구한다”고 했다.
오 시장은 전날 국회기획재정위원회 윤영석 위원장과 여야 간사인 류성걸 국민의힘 의원과 신동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만나 입법 차원에서 무임수송 국비지원 협조를 요청했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23/02/600/20230209154119_1850615_1199_884.jpg)
9일 오후에는 오신환 서울시 정무부시장이 부산시 이성권 경제부시장과 함께 국회 국토교통위원회를 방문해 무임수송 국비 지원을 위한 도시철도법 개정에 협조해달라고 요청했다.
오 부시장은 "노인뿐 아니라 국가유공자와 장애인도 무임승차"라며 "국가가 결정한 공익적 정책 서비스에 대해 지방정부가 모든 걸 다 부담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서민들 민생이 어려운데 정부가 도와주면 지하철 인상 폭을 최소화할 수 있다"며 적극적으로 법안을 검토해달라고 부탁했다.
이에 대해 최인호 국토위 교통법안심사소위원회 위원장은 "2월에는 심의하기가 빠듯해 3월에 적극적으로 하겠다"며 "두 부시장께서 기재부를 설득하는 데 최대한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지난해 말 여야 합의로 지자체 도시철도 PSO(공익서비스에 따른 손실보전 지원) 예산이 국회 국토교통위원회를 통과했으나, 기재부가 반대하면서 본회의 처리가 무산됐다. 기재부는 지하철은 지자체의 사무여서 중앙정부가 지원하는 것은 불가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