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 반도체' 종자산업, 시장 키우고 수출 나선다…5년간 1.9조 투자

입력 2023-02-01 14:5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027년 국내 시장 1.2조 규모·1.2억 달러 수출 목표…종자 클러스터 구축 추진

▲제3차 종자산업 육성 5개년계획 비전 및 전략. (자료제공=농림축산식품부)

정부가 농업의 고부가가치 분야인 종자산업 육성을 위해 5년간 1조9410억 원을 투입한다. 2027년까지 국내 시장은 1조2000억 원, 수출액은 1억2000만 달러까지 늘리겠다는 목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일 '종자산업 기술혁신으로 고부가 종자 수출산업 육성'을 비전으로 제3차 종자산업 육성 종합계획(2023∼2027년)을 발표했다.

종자산업은 농업에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손꼽힌다. 특히 앞으로 기후변화와 곡물가격 상승 등 상황에 따라 중요성은 더욱 커지는 실정이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세계 종자시장 규모는 2020년 기준 449억 달러에 달하지만 국내 시장 규모는 세계 시장의 1.4%에 불과하다. 이에 정부는 종자 주권을 확보하기 위해 종자산업을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먼저 디지털 육종 등 신기술 상용화에 나선다. 디지털 육종은 유전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여러 유전자 간 연관 분석을 통한 육종 예측 모델을 만들어 육종을 선발하는 방식이다.

작물을 직접 재배해 종자를 개발하는 전통 방식과 비교하면 육종 기간은 기존 7~10년에서 3~5년으로 단축하고, 상품화율은 5배까지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농식품부는 7000억 원 규모의 상용화 연구개발(R&D)을 추진하기 위해 올해 하반기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할 계획이다.

핵심종자 개발도 추진한다. 종자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옥수수, 콩, 밀, 감자, 벼 등 식량작물에 더해 앞으로 시장성이 기대되는 스마트팜에 특화된 엽채·과채류 종자 개발을 강화할 계획이다. 가루쌀, 소형 양배추 품종, 로열티를 줄일 화훼 품종 개발에도 나선다.

종자산업 인프라 구축을 위해 데이터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정부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민간업체에 개방해 다양한 유전체 정보 등을 수집·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 전북 김제에 종자가공센터를 세우고 농가-업체 간 분쟁해결 전담팀을 둔다.

아울러 네덜란드의 종자 단지(Seed Valley)와 같이 R&D 시설, 연구기업 등이 집적된 종자산업 혁신클러스터(K-seed valley) 구축을 위해 올해 타당성 연구용역을 추진한다.

식량종자 민간 활성화를 위해 국립종자원의 정선시설(종자만 걸러내는 시설)을 민간이 저렴하게 이용하게 하고, 과수 무병묘 공급을 늘려 바이러스 병해로 인한 과수 농가 피해를 예방할 계획이다.

또 주요 채소 육묘에 적합한 환경데이터를 쌓아 기업에 주고 시설장비도 지원한다.

윤원습 농식품부 농식품혁신정책관은 "제3차 종합계획은 디지털육종 상용화 등을 통한 종자산업 기술혁신과 기업 성장에 맞춘 정책지원으로 종자산업의 규모화와 수출 확대에 중점을 뒀다"며 "관계기관, 업계 등과 협력을 강화하고 연차별 세부 시행계획을 마련해 차질 없이 이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