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AI 서비스 에이닷에 인간 대화 유사 ‘장기기억’ 기술 장착

입력 2023-01-24 10:37수정 2023-01-24 10:3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과거 좋아했던 영화 · MBTI 유형 · 애완동물까지 기억
국내 최초 한국어 GPT-3 기반 AI 서비스 첫 상용화

▲에이닷 (SK텔레콤 제공)

SK텔레콤은 성장형 AI(인공지능) 서비스 '에이닷'에 오래된 정보를 기억해 대화에 활용할 수 있는 '장기기억' 기술을 장착, 서비스 고도화에 나선다고 24일 밝혔다.

장기기억 기술을 장착하면 이용자가 에이닷과 오래전에 대화했던 내용 중 중요한 정보를 별도 메모리에 저장한다. 사람이 마치 뇌 속에서 오래된 기억을 끄집어내듯 대화 중에 활용할 수 있는 구조다. 여기에 사진과 텍스트 등 복합적인 정보를 함께 이해할 수 있는 멀티모달 서비스도 에이닷에 장착한다.

기존 초거대 AI가 주로 언어에 초점을 맞춘 모델이라면 멀티모달 AI는 텍스트 이외에 음성, 이미지, 제스처, 생체 신호 등 여러 방식의 데이터를 인간처럼 종합 추론하고 의사소통까지 할 수 있는 AI 기술이다.

SKT는 연초부터 AI 기술 주도권을 놓지 않겠다는 의지를 담아 이 같은 행보에 나섰다고 한다.

SKT는 국내 최초로 초거대 언어 모델인 GPT-3의 한국어 버전을 상용화한 에이닷 서비스를 론칭한 데 이어,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고도화 중이다.

현재까지 별도 설치가 필요 없는 'A.game', 이용자의 시청 이력과 선호도 기반으로 추천 채널을 제공하는 'A.tv', AI가 알아서 사진 편집을 해주는 'A.photo' 서비스를 선보인 바 있다.

향후 SKT는 에이닷에 최근 화두가 되는 Chat(챗)GPT와 같은 초거대 AI 모델을 접목할 계획이다.

현재 AI 대화 서비스는 명령 위주의 '목적성 대화'와 친구처럼 사소한 대화를 함께 할 수 있는 '감성 대화', 지식을 얻을 때 사용할 수 있는 '지식 대화'로 크게 나뉘는데 ChatGPT와 연계되면 ChatGPT가 보유한 방대한 정보를 활용해 지식 대화가 한층 강화될 수 있다고 SKT는 설명했다.

김영준 SKT A.추진단 담당은 "더욱 적극적인 연구개발 투자 및 지속적인 서비스 고도화 등을 통해 에이닷을 글로벌 톱 수준의 AI 서비스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