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사업 방치할 수 없다...'안전빵' 공공 주택 사업에 올인
부동산시장 불황이 2년을 넘어가는 가면서 주택사업이 크게 줄어든 대형건설사들이 주공 아파트 사업장 등 소규모 사업장의 최저가 아파트 수주까지 열을 올리고 있다.
지난해까지만해도 가급적 주택사업을 유보하고 브랜드 네이밍에 걸맞는 대형사업만 챙기던 대형건설사들의 입장이 달라진 것은 올해부터다.
지난 2월 주공이 발주한 행정중심복합도시 아파트 입찰에서는 GS건설, 대림산업, 롯데건설, 포스코건설 등 국내 빅5를 형성하는 대형업체들이 모두 참가해, 말그대로 '별들의 전쟁'을 치룬 바 있다.
행복도시 5공구 아파트 건설공사 입찰에는 GS건설 대림산업 롯데건설 두산건설 한화건설 등 29개사가 참여해 한신공영이 낙찰예정사로 선정됐다.
4공구와 6공구 입찰에도 대림산업 금호건설 두산건설 롯데건설 한화건설 포스코건설 등 시공평가능력 20위 이내 업체들이 대거 참여했다.
그간 대형건설사들은 주공 아파트 현장을 일부러 피해왔다. 주공 아파트의 경우 최저가 낙찰제로 수주하는데다 분양가도 민간 아파트에 비해 떨어져 수주를 하더라도 수익을 챙길 수 있는 부분이 현저히 적기 때문이다.
더욱이 주공 아파트는 '저렴한' 아파트인 만큼 마감수준이나 시설 부문도 자사 브랜드 아파트보다 떨어질 수 밖에 없다. 그럼에도 시공사가 대형건설사임을 들어 자사 브랜드 수준의 아파트를 기대하는 수요자들에게 원성을 살 우려도 있어 자사 브랜드 보호를 위해서라도 굳이 주공 아파트 수주는 꺼려왔던 것이 대형 건설사들의 행태였다.
이러한 대형건설사들이 최근 들어 주공 발주 아파트 수주에 열을 올리는 이유는 주택사업을 중단할 수 없다는 현실 때문이다. 대우, 현대, 삼성, GS 등 국내 건설시장을 좌지우지하는 대형건설사들은 조직의 절반가량이 주택사업부문으로 구성돼 있다.
하지만 최근 2년 동안 이들 업체들 역시 부동산시장 불황에 따라 이렇다할 주택 사업을 추진하지 못해 회사의 '절반'이 무위도식 상태에 빠지게 된 상황이 됐다. 그렇다고 자체 사업을 늘리기도 어려운 상태다. 자칫 섣불리 분양했다가는 대량 미분양으로 이어질 수 있고, 이 경우 애써 가꿔온 브랜드 이미지에도 타격을 입힐 수 있다.
최근들어서는 이들 대형 건설사들마저도 주택사업을 위한 은행 PF(프로젝트 파이낸싱)대출이 쉽지 않아 자체 사업을 추진하기가 더욱 힘들어졌기 때문이다.
바로 이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대형건설사들이 주공 아파트 수주에 열을 올리고 있는 상황이다. 게다가 주공 아파트 사업 등 공공 주택 수주 사업은 도급 사업이라 그만큼 미분양에 따른 위험성도 없어 대형건설사들 입장에선 더욱 유리하다.
심지어 최근 김포한강신도시 AC-11블록에 전용면적 85㎡ 초과 물량 970가구를 짓는 사업에 국내 1위 브랜드인 래미안을 보유한 삼성물산마저도 끼어든 상태다.
하지만 이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대형건설사들의 소규모 사업장 진출은 건설시장 불황기에 '리딩 컴퍼니'들이 취할 '노블레스 오블리주'가 아니라는 것이다. 실제로 주공아파트 사업은 주로 업계 100위권 안팎의 중소형 건설사들 수주해왔다. 따라서 대형사들의 진출로 인해 이들 중소형 건설사은 더욱 설자리가 좁아지고 있는 상태다.
한 중견건설업체 관계자는 "대형사들도 소규모 사업장을 챙겨야할 만큼 시장 상황이 안좋아진 것은 이해할 수 있지만 이렇게 되면 중소형 건설사들의 입지는 더욱 좁아질 수 밖에 없다"며 "어차피 정부가 발주하는 인프라 사업 수주는 꿈도 못꾸는 상황에서 주공 아파트 발주사업까지 뺏기면서 사업환경이 더욱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