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금통위 폴] ③ 전문가별 코멘트

입력 2023-01-06 15:1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국은행)

▲ 김성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 = 25bp 인상, 동결 소수의견 1~2명, 연내 동결

-채권시장을 중심으로 기준금리 동결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다만, 자금경색 우려와 연초 회사채와 크레딧채 발행을 보면 최악의 상황은 일단락되는 분위기다. 미 연준(Fed)도 회의록을 보면 긴축의 고삐를 놓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도 기준금리 인상을 쉬어갈 필요는 없다고 본다.

이후엔 연내 동결이 이어질 것으로 본다. 외환시장이 안정을 찾았고, 이창용 총재도 시선을 미국 같은 외부에서 내부로 돌리고 있기 때문이다. 기준금리 3.5%도 높은 수준이라는 점에서 이 수준을 유지하면서 물가안정을 도모할 것으로 본다.

다만, 연준이 기준금리를 5.5%까지 올린다면 한은도 한번 더 인상할 수는 있겠다.

▲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 = 25bp 인상, 만장일치, 2월 추가 인상

-명목상 소비자물가가 전년동월대비 5%로 높은 수준이다.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 기조도 마무리되지 않았다. 한은은 2월까지 추가 인상하며 금리인상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본다.

▲ 김지만 삼성증권 연구원 = 25bp 인상, 동결 소수의견 2명, 연내 동결

-여전히 물가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인상을 예상한다. 다만, 지난해 10월부터 단기자금시장 등에 유동성 위험이 있었다는 점에서 이번 인상이 마지막일 것으로 본다.

미 연준이 최종금리 수준을 5%대 초반이 아니라 중후반까지 인상한다면 상황은 달라지겠지만, 한은 기준금리 3.5% 정도면 정점일 것으로 본다.

일각에서 동결 기대감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가 정교한 정책조합을 언급했다는 점에서 미 연준 움직임을 보고 할 수도 있겠다. 다만, 이번에 인상을 하지 않는다면 시장에 잘못된 신호를 줄 수 있을 것이다.

▲ 문홍철 DB금융투자 연구원 = 25bp 인상, 동결 소수의견 1명, 하반기 인하

-정부가 부동산 (안정) 정책을 강하게 내놓다보니 동결 소수의견이 한명 정도는 있을 것으로 본다. 올 하반기엔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보고 있다.

인플레이션이 미국을 필두로 먼저 꺾이고 있고, 시차를 두고 유럽 등 그 외 국가들도 안정을 찾을 것으로 본다. 국내에서는 건설경기가 심각하게 악화하고 있다. 2분기 이후부터는 정부도 규제완화를 뛰어넘는 대응책을 내놓을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본다. 여기에 금리정책도 포함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 민지희 미래에셋증권 연구원 = 25bp 인상, 동결 소수의견 1명, 4월 추가 인상 후 연말 인하

-미 연준이 인상기조를 유지하고 있는 중이다. 한은도 인플레에 우선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연준의 금리인상 기조가 길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한은도 3.5% 수준에서 끝내기 어렵다고 본다. 다만, 연속적 금리인상보다는 한번 쉬고 그 다음 금융통화위원회가 있는 4월에 인상할 것으로 본다.

이후 3분기까지는 동결기조를 유지하다가 연말쯤 금리인하로 피벗(pivot, 통화정책 방향전환)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인플레가 일시적인데다, 레벨도 미국보다 낮다. 원자재가격이 떨어지면 인플레도 서서히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명목 기준금리에서 인플레이션을 뺀 것이 실질 기준금리다. 인플레가 떨어진다는 점에서 기준금리를 유지하더라도 2~3분기엔 실질 기준금리가 플러스로 전환할 것이다.

▲ 백윤민 교보증권 연구원 = 25bp 인상, 만장일치, 2월 추가 인상

-지난해 11월 한은이 베이비스텝(25bp 금리인상)을 했다. 기본적으로 지난 금통위에서 한은도 통화긴축 속도조절에 동참한 모습이다.

다만, 물가안정을 베이스로 한 통화정책은 이어질 것으로 본다. 한은이 내놓은 지난 수정경제전망을 보면 경기침체를 반영해 성장률 전망치를 크게 낮췄지만, 물가는 경직성 때문인지는 몰라도 하락폭이 크지 않았다. 물가에 대응할 필요가 여전하다.

연준도 시장 기대보다는 높은 수준에서 최종금리 레벨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내외금리차를 고려한다면 한은은 2월에도 25bp를 추가 인상해야 한다. 즉, 물가레벨과 연준의 인상속도, 한미금리 역전폭 확대를 감안한 정책이 계속될 것이다.

주상영 금통위원을 제외하면 금통위원들도 3.5%와 3.75%로 갈라져 있다. 경기 우려가 커지는 것은 사실이나 실질적인 지표로 확연히 들어난 상황은 아니라는 점에서 만장일치 인상을 예상한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3.75%까지 올린 후엔 연준과 물가부분이 변수다. 연준 최종금리 수준이 중간값 정도 레벨에서 종료될 것으로 본다. 연준의 최종금리가 6%를 넘어가는게 아니라면 5% 수준은 대동소이하다. 한은도 미국과의 금리 역전폭이 125bp에서 150bp까지 벌어지는 선에서 인상사이클을 종료할 것으로 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