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병적금 정부지원 30만 원…40만 원 18개월 납입 약 1300만 원 수령
![](https://img.etoday.co.kr/pto_db/2023/01/600/20230104153931_1837756_1173_780.jpg)
올해부터 병장의 월급이 100만 원으로 오른다. 제대한 예비군 훈련비도 2만 원 늘린 8만 2000원으로 인상된다.
정부는 5일 이런 내용의 ‘2023년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를 발표했다.
우선 병역의무를 이행하는 군인의 월급이 일제히 오른다. △병장은 100만 원(32만3900원·47.9%↑) △상병은 80만 원(18만9800원·31.1%↑) △일병은 68만 원(12만7900원·23.2%↑) △이병은 60만 원(8만9900원·17.6%↑) 인상된다. 이들의 월급은 매년 인상되며 병장 기준 내년 125만 원, 2025년 150만 원이다.
병사 전역 시 학업·취업·창업 등을 위한 장병내일준비적금의 정부 지원금은 월 최대 14만 원에서 30만 원으로 인상한다. 병역 기간인 18개월 간 매달 40만 원을 입금하면 원금과 이자 754만 원에 정부 매칭 지원금 535만 원을 더해 1289만 원을 받을 수 있게 된다.
군 생활 환경도 개선된다. 생활실 거주 인원은 9명에서 2~4인으로 줄이고 생활실에 화장실과 샤워실도 마련한다.
입영을 위한 교통비는 그동안 시외버스 운임 단가로 지급했는데 자동차 이용 기준(연료비, 통행료)으로 준다.
조리 분야 전공자와 자격·면허 소지자만 가능했던 육군 조리병 지원 조건은 사라진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23/01/600/20230104153954_1837757_1146_771.jpg)
동원 훈련에 참여하는 예비군의 훈련 보상비는 8만 2000원으로 2만 원 오르며 월 10만 원만 지원하던 사회복무요원의 건강보험료는 전역 지원한다.
유치원 교사의 현역병 입영 일자를 본인이 희망하면 학기(학년) 이후로 조정할 수 있고 대학(원) 휴학 중 계절학기를 수강하는 경우 동원훈련소집을 연기할 수 있다.
상이국가유공자에게 제공되는 교통복지카드가 전국에서 호환돼 전국 시내버스, 지하철(도시철도)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