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경제이슈 캘린더-7월] 통장을 스치는 월급…소비자물가, 외환위기 이후 최대 상승

입력 2022-12-30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소비자물가 상승세가 둔화했으나 8월 먹거리 물가는 상승하면서 13년 4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5일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이날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먹거리 물가는 1년 전보다 8.4% 상승했다. 이는 2009년 4월(8.5%) 이후 13년 4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로 2020년 가중치를 기준으로 집계했을 때 8월 먹거리 물가 지수는 113.57 기록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유가 급등과 글로벌 공급망 차질, 코로나19 이후 소비심리 회복으로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3% 급등하면서 외환위기 이후 23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3월(4.1%)에 4%대를 넘어선 이후 5월(5.4%)에는 5%대를 돌파했고, 6월과 7월엔 각각 6.0%, 6.3%씩 올라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11월(6.8%)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7월 소비자물가는 석유류 등 공업제품과 외식비 등 개인서비스 가격 상승이 주도했다. 공업제품은 국제 유가 상승으로 인한 석유류(35.1%)의 강세로 8.9% 올랐다. 석유류에서는 휘발유(25.5%), 경유(47.0%), 등유(80.0%), 자동차용 LPG(21.4%) 등의 상승 폭이 컸다. 앞서 올해 3월 배럴당 국제유가는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수급난으로 130달러대까지 급등했지만, 하반기 들어서는 경기 침체 우려 등으로 현재 70달러대 후반을 기록하고 있다.

서비스 물가는 4.0% 상승한 가운데, 외식 물가 상승률은 1992년 10월(8.8%) 이후 29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재료비와 인건비 등 생산비 상승에 코로나19 방역 조치가 완화되면서 소비심리가 회복된 영향이다. 농·축·수산물도 농산물(8.5%)을 중심으로 7.1% 올랐다. 이 중 채소류가 25.9% 급등하면서 2020년 9월(31.8%) 이후 최대 상승 폭을 보였다. 유류비와 비료비 등 전반적인 생산비가 상승한 가운데, 잦은 강수와 고온다습한 기후 여건 등이 영향을 미쳤다.

이후 물가는 8월(5.7%)과 9월(5.6%)에는 상승세가 둔화했고, 10월(5.7%)을 제외하면 7월을 정점으로 상승세가 점차 둔화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만 11월에도 5.0%를 기록하면서 여전히 7개월째 5%대의 상승률을 이어가고 있다. 올해 1∼11월 소비자물가는 작년 동기 대비 5.1% 상승하면서 물가안정목표(2%)를 크게 웃돌았으며, 연간 기준으로는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수준(4.7%)을 넘어 1998년(7.5%) 이후 가장 높을 것으로 한국은행은 전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