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부동산시장 결산] 고금리·고분양가에 청약열기도 ‘잠잠’

입력 2022-12-20 15:1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미분양 리스크 확대

▲연도별 전국 아파트 분양물량 (자료제공=부동산R114)

올해 분양시장은 높은 대출 이자 부담과 분양가 상승, 집값 추가 하락 우려 등으로 청약의 매력이 감소하면서 부진한 흐름을 이어갔다. 청약 불패를 이어가던 서울에서 초기 분양률 100% 기록이 깨졌고, 공급과잉 및 가격 하락 폭이 큰 지역을 중심으로 미분양 리스크가 확대되는 분위기다.

20일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R114는 ‘2022년 부동산 시장 결산’을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올해는 전국에서 39만6216가구(예정물량 포함)가 공급됐다. 분기별로 △1분기 9만9382가구 △2분기 7만691가구 △3분기 8만3238가구 △4분기 14만2905가구로 집계됐다. 내년 경기 악화 우려 속에서 더는 공급을 미룰 수 없다는 판단을 한 건설사들이 연말 밀어내기 분양에 나서면서 4분기 가장 많은 물량이 풀렸다.

서울은 1만2032가구의 올림픽파크포레온을 비롯해 장위자이 레디언트(2840가구), 강동 헤리티지 자이(1299가구) 등 대단지 분양이 몰리면서 올해 공급물량(2만7964가구) 가운데 75%(2만899가구)가 4분기에 공급됐다.

경기, 광주, 경남 등지에서도 연말 분양물량을 쏟아내는 분위기다. 이 같은 밀어내기 분양은 입지 우위 지역 등 사업성이 좋은 아파트를 위주로 내년 초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 외 분양을 앞둔 상당수 사업지에서는 미분양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일정을 조정할 가능성이 크다.

올해 전국의 아파트 평균 청약경쟁률은 7.7대 1로 2021년(19.8대 1)과 비교해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을 나타냈다. 지역별로 세종(49.6대 1), 부산(37.2대 1), 인천(16.1대 1), 대전(12.3대 1) 순으로 높았고, 세 자릿수 경쟁률을 기록한 지역은 전무했다. 일반분양에 나선 384개 단지 가운데 175곳(45.6%)에서 미달이 발생했고, 당첨 후 계약 포기 사례가 속출했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정부가 규제지역을 해제하고 무순위 청약의 거주지역 요건을 없애 청약 대상자를 늘리는 등 규제 완화에 나서고 있지만, 일부 지역 및 단지를 제외하면 분위기 반전은 쉽지 않을 것”이라며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대출 부실에 따른 자금경색 우려가 커지고 있어 윤석열 정부의 5년간 270만 가구 공급계획도 난항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