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신용] 반도체 경기, 내년 하반기에나 완만히 회복

입력 2022-12-08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당분간 수출·설비투자·생산 등에 부정적 영향…메모리에서 비메모리 등으로 확장해야

(조현호 기자 hyunho@)

반도체 경기가 내년 하반기부터나 완만하게 회복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에 따라 당분간 수출과 설비투자 생산 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우리 경제 성장세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봤다.

8일 한국은행이 국회에 제출하고 일반에게 공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 2022년 12월’ 자료에 따르면 내년 통관기준 국내 반도체 수출은 단가 하락 등 영향에 감소할 전망이다. 수출물량의 경우 정보통신(IT) 경기에 민감한 메모리 반도체가 부진하겠으나, 디지털화에 따른 비메모리 반도체의 기조적 수요 확대에 힘입어 완만한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생산측면에서 보면 내년에도 반도체 부분 국내총생산(GDP) 기여도는 축소될 것으로 예측했다. 올 2분기 중 GDP 성장률은 전년동기대비 2.9%를 기록한 가운데 반도체 제조업 기여도는 1.0%포인트를 기록한 바 있다.

(한국은행)
최근 글로벌 반도체 경기는 2021년 3분기를 정점으로 하강을 지속하고 있는 중이다. 글로벌 경기 둔화, 고인플레이션 지속, 금리상승 등으로 IT제품에 대한 수요가 위축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3개월 평균 글로벌 반도체 매출은 올 8월 전년동기대비 마이너스(-)0.2%를 기록한 가운데 9월에도 –3.0%로 뒷걸음질 쳤다. 한국 반도체 수출 역시 9월 -5.3%로 2020년 1월(-14.3%) 이래 처음으로 마이너스 전환한 이후 10월엔 –10.9%로 마이너스 폭이 확대됐다.

주요국의 통화 긴축,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등으로 당분간 부진한 흐름을 이어갈 전망이다. 최근 크게 증가한 반도체 제고도 생산 조정 및 가격 하락 압력으로 작용하면서 반도체 경기회복을 제약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은 관계자는 “글로벌 반도체 경기 하강시마다 거듭되는 경제적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메모리에 편중된 국내 반도체 생태계를 디지털 전환에 따라 추세적인 성장이 기대되는 비메모리 등으로 확장할 필요가 있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