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투데이 말투데이] 필부지용(匹夫之勇)/커피출레이션

입력 2022-11-18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조성권 국민대 객원교수

☆ 브레네 브라운 명언

“용기란 비판에 익숙해지는 게 아니라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것이다.”

‘전심전력’(wholeheartedness)을 10년간 연구한 미국 교수. 이를 실천하는 데 방해나 도움이 되는 여러 감정인 부끄러움, 용기, 진실함, 약함을 밝혀냈다. 그녀는 전심전력을 처음 정의 내리고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을 규명했다. 그녀는 오늘 태어났다. 1965~

☆ 고사성어 / 필부지용(匹夫之勇)

좁은 소견으로 혈기만 믿고 함부로 날뛰는 행동을 비유한다. 출전 맹자(孟子) 양혜왕(梁惠王) 하편. 제(齊)나라 선왕(宣王)이 맹자에게 “과인은 용기를 좋아합니다”라고 말하며 작은 나라를 받들기보다는 합병해 나라를 키우고 싶고, 큰 나라와 싸워 이겨 제후의 맹주가 되고 싶은 마음을 드러냈다. 맹자가 한 말에서 유래했다. “소용(小勇)을 좋아해서는 안 됩니다. 칼을 어루만지고 눈을 부라려, 너 같은 자는 나의 적수가 아니라고 하는 것은 ‘필부의 용기[匹夫之勇]’로 기껏해야 한 사람을 상대하는 것밖에 안 됩니다. 청컨대 부디 좀 더 큰 용기를 가지십시오.” 맹자는 용기를 좋아하는 선왕의 마음을 근거로 왕도정치(王道政治)를 실행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 시사상식 / 커피출레이션(Capitulation)

‘조건부 항복’이라는 뜻이다. 급락세 주식시장에서 투자자들이 희망을 버리고 항복하듯이 주식을 매도하는 현상을 말한다. 급락장에서 투자자 심리는 3단계다. 처음엔 그런 장이 아니라고 ‘부정(denial)’하다가, 진정되지 않으면 ‘공포(fear)’로 바뀐다. 마지막에는 ‘무조건 항복(Capitulation)’해 투매로 이어진다. 커피출레이션 이후에는 남은 매물이 없어 바닥의 신호로 여겨진다.

☆ 신조어 / 뇌절

이해할 수 없는 말이나 행동 때문에 뇌의 회로가 끊어지는 것처럼 사고가 정지된다는 뜻이다.

☆ 유머 / 선물과 뇌물 차이

서서 받으면 선물, 앉아서 받으면 뇌물.

웃고 받으면 선물, 그냥 받으면 뇌물.

받고 악수하면 선물, 받고 악수 안 하면 뇌물.

받고 잠 잘 오면 선물, 받고 잠 설치면 뇌물.

바라는 게 없으면 선물, 잘 보이거나 덕 보려 하면 뇌물.

채집/정리:조성권 국민대 경영대학원 객원교수, 멋있는 삶 연구소장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