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BIS 높이기용 '후순위채' 남발 우려

입력 2009-04-08 15:4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8∼9%대 고금리로 발행해 수익성 악화 지적

저축은행들이 자산 건전성 악화에 따른 자본 확충 방법으로 후순위채권 발행을 늘리고 있지만 8∼9%대의 고금리로 발행함으로 인해 수익성 악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자산건전성 악화로 인해 저축은행들이 자본 확충을 위해 후순위채를 발행했거나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후순위채권 이란 채권발행기관이 파산시 일반사채 등 다른 채권자들의 부채가 모두 청산된 다음에 마지막으로 상환 받을 수 있는 채권을 의미한다. 일반사채보다는 상환 순위에서 뒤지나 우선주나 보통주보다는 우선한다.

현재 저축은행의 후순위채 발행 현황을 보면 지난 2월말 청약을 끝낸 HK저축은행은 9.5%의 고금리와 5년 5개월 만기로 309억원을 유치했다.

지난달 청약이 끝난 부산과 부산2저축은행도 일반 공모 방식으로 연 8.5%의 금리와 5년5개월 만기로 각각 294억원과 180억원을 유치했다

한국저축은행도 오는 6일부터 8일까지 청약을 받는다. 발행금액은 총 200억원이며 금리는 연 8.5%이고 만기는 5년3개월이다. 4월 현재 후순위채는 784억원이 발행돼 올초에만 지난해의 절반을 넘어섰다.

또한 현대스위스저축은행도 후순위채권 발행을 검토중이라고 밝혀 자본 확충을 위한 저축은행들의 후순위채권 발행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금감원도 지난달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이 5∼7% 수준인 9개 저축은행에 자본확충을 권고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경제위기가 확산되면서 건전성 악화에 대비해 공식적으로 자본확충을 권고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저축은행들이 후순위채권을 발행하는 이유는 BIS 자기자본비율을 8% 이상 유지해야 하는 상황에서 후순위채권 발행을 국제결제은행(BIS) 자본비율을 끌어올리는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필요한 자본을 확충하는 과정에서 외부 금조달이 유상증자보다 비교적 쉬울뿐만 아니라 단기간에도 BIS비율을 올리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저축은행들이 후순위채권 발행을 선호하는 이유로 한 몫하고 있다는 얘기다.

저축은행들의 후순위채 발행은 지난해에도 대규모 발행된 바 있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 저축은행의 기한부 후순위채는 전체 1447억5000만원으로 12개사가 후순위채권을 발행했다.

규모별로는 경기저축은행이 400억원으로 최대였으며 솔로몬저축은행이 200억원, 현대스위스·한국저축은행이 각각 150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저축은행 한 관계자는 "지난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 문제로 인해 발행됐던 후순위채는 자산관리공사(캠코)의 부실채권 인수로 고비를 넘겼지만 장기화 되고 있는 경기침체가 저축은행들의 발목을 붙잡아 다시 후순위채권 발행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저축은행들이 고금리로 후순위채권을 발행할 수 밖에 없어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또한 현재 후순위채권 청약율이 40∼80% 수준으로 발행 규모에 크게 못 미치고 있는 점도 저축은행들의 자본 확충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저축은행 한 관계자는 "신용등급이 낮은 개인들을 대상으로 리스크를 감수하고 대출을 해주는 대표적 서민금융기관이라 할 수 있는 저축은행과 일반 시중은행의 자기자본비율 기준을 비슷하게 하는 것은 부담이 된다"면서 "청약율이 발행규모 보다 미치지 못하고 있는 현 시기에는 자칫 수익성이 악화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더불어 "금융당국이 어느 정도 자기자본비율 기준을 낮춰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