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유지냐 매각이냐…30% 감원 후 푸르밀 직원들의 운명은?

입력 2022-11-08 15:03수정 2022-11-08 17:5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뉴시스)

푸르밀 직원들의 운명이 안갯 속이다. 푸르밀 사측과 노조는 4차 교섭 끝에 ‘30% 인원 감축안’ 합의에 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푸르밀은 구조조정 후 재운영 기간 매각을 추진할 계획이지만, 누적된 영업손실 등으로 인수의향자가 이른 시일에 나타날지 의문이다.

8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김성곤 푸르밀 노조위원장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사측 비상대책위원들과 전북 전주 공장에서 만나 이야기를 나눴다”며 “장시간 논의한 끝에 노조가 제시한 30% 구조 조정안을 회사와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어 “임직원 감원 후 사업을 당분간 자체 운영하기로 했다”며 “당분간 회사를 운영하면서 인수업체를 찾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다만 사측은 30% 감원이 논의된 것은 맞지만, 매각이나 사업 유지가 최종 결정된 것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사측 관계자는 본지와 전화 통화에서 “30% 감원에 따른 비용이 줄어들 경우 매각 의사를 보이는 업체가 나타날 가능성을 열어둔 것”이라며 “회사 운영이나 매각 여부가 최종 결정된 것은 아니다”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비대위가 내일 대표와 회장에 보고한 후 이해타산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돌려보고 결정할 문제다. 공식 발표까지는 다소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말했다.

노사가 우선 구조조정에 합의했지만 푸르밀이 향후 정상 운영될지는 미지수다. 30% 감원 이후 푸르밀이 다시 사업을 시작해도 우유 시장에서 살아날 가능성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국내 우유 시장 침체로 관련 업계는 일찌감치 사업구조를 바꾸기 시작했다. 경쟁사들과 달리 푸르밀은 유제품 의존도가 상당하다.

이른 시일에 재매각이 이뤄질 확률도 높지 않다. 앞서 LG생활건강이 푸르밀 인수를 추진했지만 결국 무산됐다. 푸르밀의 노후화된 생산시설이 걸림돌로 작용했다고 업계는 해석한다. 사측이 노조와의 약속을 지킬지 두고 봐야 한다는 시각도 상당하다. 앞서 사측은 교섭을 진행하는 동안 노조에 한 발언과 반대되는 행동을 여러 번 취했다.

푸르밀은 앞서 지난달 17일 전 직원에게 메일을 보내 11월 30일 자로 사업종료·정리해고를 통지했다. 직원들이 “경영진이 무능·무책임 경영으로 일관했다”며 반발하자 같은 달 24일과 31일, 11월 4일에 각각 1·2·3차 노사 교섭을 진행했다. 2차 교섭 자리에서 사측은 재매각 추진 의사를 나타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후 푸르밀은 낙농진흥회에 원유 공급을 중단해달라고 요청하고, 대리점과의 계약을 종료하는 등 매각 추진으로 해석되기 어려운 행보를 보인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