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 전 요청”vs “연락 못 받아”…이태원역 무정차 놓고 경찰·서울교통공사 공방

입력 2022-11-01 09:5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연합뉴스)

300명이 넘는 사상자를 낸 이태원 참사를 두고 경찰과 서울교통공사가 공방을 벌이고 있다. 이태원역(6호선) 무정차 통과 지시를 ‘언제’ 했느냐다.

지난달 31일 경찰은 ‘사고 당일 경찰이 사고 발생 1시간이 지나고 난 후에야 지하철 무정차를 요청했다’는 언론 보도에 대해 “참사가 나기 전 공사에 요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라고 해명했다.

구체적으로 경찰은 참사 관련 첫 신고가 접수되기 약 37분 전인 29일 오후 9시 38분께 교통공사에 무정차 통과를 요청했다고 주장한다. 용산경찰서 112상황 실장의 요청에도 불구하고 공사 관계자가 ‘승하차 인원이 예년과 차이가 없다’며 정상 운영을 결정했다는 것이다.

이는 애초 공사가 밝힌 내용과 다르다. 공사는 용산서가 참사 발생 약 1시간 뒤인 29일 오후 11시 11분께 112상황실을 통해 지하철을 무정차 통과시킬 수 있는지 문의했다고 주장한다. 경찰의 주장과는 1시간 30분 이상 차이가 난다.

경찰은 참사 사흘 전인 26일 용산경찰서가 참석한 ‘핼러윈 기간 시민 안전 확보 간담회’에서도 이태원역장에게 대규모 인파가 모이면 지하철을 무정차 통과시킬 것을 요청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태원역장이 “그동안 핼러윈 때 이태원역을 무정차로 운행한 사례는 없지만, 필요할 경우 현장에서 판단해 조치하겠다”고 답변했다고도 했다.

앞서 100만 인파가 모인 지난달 8일 여의도 불꽃축제 때는 5호선 여의나루역 등 축제 지역과 인접한 일부 지하철역 승강장에 인파가 몰리자 서울교통공사가 무정차 통과를 지시했다. 29일 이태원 역시 무정차 통과 조치를 통해 인파를 분산했어야 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31일 오후 11시 발표 기준 이태원 참사로 인한 사망자는 전날보다 한 명 늘어 155명이며, 중상자는 3명 줄어든 30명, 경상자는 6명 늘어나 122명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