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시대 슬기로운 소비생활①] 식자재도 가공식품 가격도 모두 올랐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22/10/600/20221005091912_1803747_1199_869.jpg)
6일 서울 영등포구 소재 대형마트에서 만난 최필희(가명·61) 씨는 제품을 구매하지 못하고 야채·정육 코너 근처를 서성거렸다. 가족들과 삼겹살을 먹을 때 필요한 깻잎 등 야채를 구매하려고 했지만, 가격이 비싸 좀처럼 지갑을 열지 못해서다.
최 씨는 “장을 볼 때마다 가격 때문에 놀란다. 물가가 너무 올라 도대체 어떤 제품을 살지 고민이다. 먹어야 살 수 있는 만큼 식비 외에 어떤 생활비 지출을 줄어야 할지 고민”이라고 한숨 지었다.
이날 최 씨가 방문한 대형마트 깻잎 가격은 100g당 3960원이다. 작년 10월 초 기준 주요 판매처들의 깻잎 평균 가격(2430원)보다 63% 비싸다. 쌈장 가격(500g 기준)은 36% 상승한 4230원이다.
유례없는 인플레이션으로 집에서 먹는 한 끼 부담은 계속 커지고 있다. 이날 이투데이가 한국소비자원 참가격을 분석한 결과 4인 가족 삼겹살 한 상 차림에 필요한 비용은 지난달 초 기준 2만9308원으로 전년(2만2396원) 동기 대비 6912원(31%) 올랐다. 삼겹살 한 상 비용은 삼겹살(100g*4), 적상추(100g), 깻잎(100g), 풋고추(100g), 쌈장(500g) 가격의 합이다.
인상 폭이 가장 큰 제품은 풋고추(3017원)로 작년 동기 대비 170% 증가했다. 깻잎 가격은 2695원에서 5731원으로 113% 상승했다. 적상추도 39% 오른 3091원이었다. 쌈장(3569원), 삼겹살(1만3900원) 가격은 각각 8%, 7% 올랐다.
식자재 가격이 치솟는 이유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각종 대내외 불확실성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했기 때문이다. 이상기후에 의한 작황 부진도 야채 가격 인상 요인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인플레이션을 일으키는 변수들이 언제 사라질지 예측하기 어려운 만큼 식자재 가격은 당분간 꺾이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22/10/600/20221006172020_1804644_918_454.jpg)
식자재외에도 라면, 과자 등 가공품 가격도 원부자재 가격 상승으로 자연스레 고공행진하고 있다. 농심은 지난달 15일부터 신라면을 포함해 26개 라면 브랜드 가격을 평균 11.3% 올렸다. 대형마트에서 봉지당 평균 736원에 판매되고 있는 신라면 가격은 약 820원으로 인상됐다.
오뚜기는 10일부로 라면류의 출고가 기준 제품 가격을 평균 11% 올린다. 이로써 대형마트 판매가 기준 진라면은 620원에서 15.5% 오른 716원, 진비빔면은 970원에서 10.3% 상승한 1070원이다. 팔도는 이달 1일부터 라면 12개 제품 가격을 평균 9.8% 인상했다.
과자의 경우 농심은 지난달 15일부터 스낵 브랜드 23개 제품의 출고가를 평균 5.7% 올렸다. 빙그레는 이달부터 꽃게랑 등 과자 제품 6종의 가격을 13.3% 인상했다. 삼양식품 또한 이달부터 사또밥, 짱구, 뽀빠이 등 3개 제품의 편의점 가격을 15.3%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