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장동력 '연료전지'](2)GS퓨얼셀·포스코파워 기술개발 참여

입력 2009-03-30 13:53수정 2009-04-01 10:5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차세대 신성장동력으로 각광받고 있는 연료전지에 대해 민간기업의 연구개발 참여가 두드러지고 있다. 이는 정부가 연료전지사업의 초기 시장육성을 위해 정책적인 뒷받침을 해주면서 국가 주력 수출산업으로 육성할 의지를 내비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국내 연료전지 발전시스템 시장은 실증을 완료한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 위지루 빠르게 형성되고 있는 상황이다.

연료전지사업은 활용영역에 따라 발전용, 가정용(건물용), 차량용 등 세가지로 구분된다. 발전용은 대형 발전소보다는 지역단위의 전력 생산을 담당하는 분산형 발전시스템으로 개발되고 있다. 가정용은 가정에 설치돼 전기와 난방용 열에너지를 생산한다.

하지만 정부가 연료전지사업에 열의를 갖고 추진하고 있지만 연료전지가 안착화되기 위해서는 인프라 구축을 위한 기술개발과 초기비용 인하 등이 뒷받침되야 한다는 지적이다.

우선 가정용 연료전지 보급사업에는 GS퓨얼셀·퓨얼셀파워·효성 등이 참여하고 있다.

가정용 연료전지 보급 사업은 지난 2007년부터 올해까지 총 210가구에 가정용 연료전지 시스템을 보급하는 것이다. 가정의 도시가스 배관에 이 시스템을 연결, 천연가스에서 얻은 수소를 산소와 결합시켜 전기와 난방용 열을 공급한다. 천연가스를 직접 이용하면 난방만 할 수 있지만 연료전지를 이용하면 전기(생산효율 35%, 난방열까지 포함한 에너지효율 70~80%)도 생산할 수 있다.

특히 GS칼텍스의 연료전지 전문 자회사인 GS퓨얼셀은 대형건물, 아파트 등에 활용 가능한 50㎾급 연료전지시스템과 도시가스를 이용하는 1㎾급 가정용 연료전지, 3㎾급 가정용 연료전지 열병합발전시스템 등을 개발했으며 120㎾급 대형연료전지 개발도 진행 중에 있다.

GS퓨얼셀 관계자는 "올해부터 시작되는 그린홈 보급사업을 위해 양상화 준비를 진행하고 있다"며 "가격절감을 위해 국내 여러 업체들과의 협력을 진행해 각종 부품의 국산화 개발을 진행,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GS퓨얼셀은 2010년부터 건설업체, 가스공급업체, 가전업체 등과 협력해 건물용 연료전지시스템을 주상복합아파트, 일반 아파트 및 단독 가정주택 등에 보급할 계획이다.

아울러 포스코파워와 두산중공업은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 기술을 이용해 발전용 연료전지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포스코파워는 포스코 그룹사로 2세대인 MCFC의 경우 기술제휴를 통해 단계적인 국산화를 추진 중이며, 차세대 기술(3세대)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는 자체적인 독자기술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차세대 기술의 조기 상용화를 위해 지난 2007년부터 2012년까지 연간 200억원을 투자해 180㎾급 SOFC 시스템 연구개발을 진행 중인 포스코파워는 현재까지 5㎾급 SOFC 스택(전기발생장치) 개발에 성공했으며 50㎾급 시스템 설계를 진행 중이다.

포스코파워 관계자는 "자체기술력 확보 및 대량생산체제구축을 위해 2008년가지 1500억원을 투자했다"며 "향후 2013년까지 1조1700억원을 추가 투자해 연료전지산업을 미래 국가 수출산업이자 성장동력으로 육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두산중공업은 이미 지난해 4월 국내 최초로 25㎾급 연료전지 스택 개발에 성공, 원천기술을 확보했으며 현재 300㎾급 스택과 주변장치 개발을 진행 중이다.

하지만 연료전지가 본격적으로 확산되려면 우선 수소를 안정적이고 저렴학 공급하는 인프라가 구축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현재 기술로는 화석연료인 천연가스를 이용해 수소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화석연료 고갈시 대안이 없기 때문이다.

아울러 연료전지 보급이 일정 수준이상이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연료전지 기술 상용화에 가장 앞선 일본은 올해까지 약 2100가구에 가정용 연료전지 보급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즉 국내 연료전지 기술 개발이 본격화되기 위해서는 보급 사업이 일정 수준 이상 확산돼야 한다는 것.

업계 한 관계자는 "100가구에 공급되는 가정용 연료전지 시스템의 경우 약 8000만원에 공급되고 있다"며 "하지만 이를 정부지원 300만원을 포함한 500만원 수준으로 낮춰야 본격 상용화가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