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E&S, 호주 해상 CO2 저장소 탐사 운영권 획득…CCS 사업 탄력

입력 2022-09-06 09:2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SK E&S가 호주에서 진행된 해상 CO2 저장소 탐사권 입찰에서 광구 운영권을 획득했다. SK E&S가 추진하고 있는 이산화탄소 포집ㆍ저장(CCS) 사업에도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SK E&S는 지난 3월 호주 산토스, 셰브론 등 글로벌 에너지 기업과 컨소시엄을 결성하고 입찰에 참여한 S호주 북부 해상 보나파르트 분지 G-11-AP 광구를 낙찰받았다고 6일 밝혔다.

호주 정부는 올해 초 총 5개 광구에 대한 입찰을 공고했는데, SK E&S와 함께 글로벌 메이저 에너지 기업인 셰브론, BP, 토탈 및 호주 산토스, 우드사이드 등이 낙찰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중 SK E&S가 확보한 G-11-AP 광구는 호주 북부 해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산화탄소 주입·저장이 쉬운 대염수층이 널리 분포하고 있어 CCS 프로젝트에 최적화된 지역으로 꼽힌다. 대염수층은 고염도의 지층수(염수)가 존재하는 지층으로, 염수가 가득 차 있던 공간에 이산화탄소를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어 고갈 유ㆍ가스전과 함께 CO2 저장이 쉬운 지층이다.

특히 해당 구역은 인접해 있는 광구에서 이미 다수의 가스전 E&P(탐사ㆍ생산)가 진행된 바 있어 축적된 지층 관련 데이터가 많아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탐사에 나설 수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SK E&S는 지분 30%를 확보해 산토스(40%), 셰브런(30%)과 함께 앞으로 약 3년간 해당 광구의 잠재 CO2 저장용량 평가 및 사업성 파악 등을 진행하고 이 광구를 CO2 저장소로 최종 개발할지를 결정할 예정이다. 탐사를 통해 사업성이 검증되면 추가 입찰 없이 호주 정부로부터 개발ㆍ주입권을 확보할 수 있다

SK E&S는 G-11-AP 광구에서 CO2 저장소 확보에 성공할 경우, 인근 바유운단 가스전에서 진행하고 있는 CCS 프로젝트와 연계해 북부 호주 및 동티모르 해상을 한국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글로벌 이송, 저장하는 글로벌 CCS 허브로 활용할 계획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증가하고 있는 CCS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글로벌 탄소 중립 목표달성에도 적극 기여하겠다는 것이다.

문상요 SK E&S LNG부문장은 “이번 CO2 저장소 탐사 운영권 확보를 위해 해외 메이저 에너지 기업들과 치열한 경쟁이 있었다”면서 “향후 국내ㆍ외에서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는 CCS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비하는 한편 추가적인 CCS 관련 사업 기회도 적극적으로 모색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SK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