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첨통해 현금 지급 이벤트도…고물가 속 소비촉진 쉽지 않아
오늘(1일)부터 일주일간 소상공인·중소기업 판로 확보를 위한 전국민 상생소비 캠페인 ‘동행축제’가 시작됐다. 동행축제는 코로나19 경제위기 극복과 내수 촉진, 소비 진작을 위해 전 정부에서부터 시행된 ‘동행세일’의 뒤를 잇는 행사다. 행사를 주최하는 중소벤처기업부는 “올해는 할인에 집중하기보다 프로모션에 초점을 맞춰 ‘세일’은 뺀 ‘동행축제’로 명명했다”고 행사 취지에 대해 밝혔다. 하지만 인플레이션 압력에 따른 금리 인상으로 소비가 통계 작성 이래 5개월 연속 감소하는 등 악조건 상황이라 전망은 밝지 않다. 동행축제가 소비 촉진을 일으킬 수 있을지, 중기부의 7일간 과제는 시작됐다.
중기부의 ‘7일간의 동행축제’ 행사 규모는 역대 최대다. 주요 온라인쇼핑몰과 오프라인 유통매장 등 총 235개 유통채널에서 6000개 이상의 유망 소상공인·중소기업 제품이 특별판매전에 나선다. 지난해 동행세일의 약 2배 규모다. G마켓, 위메프 등 국내 주요 온라인쇼핑몰과 TV홈쇼핑, 해외쇼핑몰, 공공쇼핑몰, 배달앱 등이 참여한다.
전 정부의 동행세일과 비교하면 이번 동행축제는 예산과 기간 절반가량 줄어들었다. 이번 행사는 지난해 대비 약 25억 원 줄었으며 기간도 1주일로 단축됐다. 지난해 동행세일은 50억 원의 예산으로 2주간 진행됐다. 수십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 2차례 동행세일에도 소비자들의 큰 관심을 끌지 못해 해마다 ‘형식적인 행사’로 전락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러한 지적과 담당자 교체, 정권 교체로 6월에 시행됐던 행사는 9월로 미뤄졌다.
유통업계의 참여를 자율로 바꿨다는 점도 눈에 띈다. 그동안 정부는 매년 유통업계의 적극적인 할인행사 동참을 요구했다. 상생협력이란 명분으로 할인율을 제시하게 했다. 지난 정부의 두 차례 동행세일 세부 내용을 살펴보면 ‘초특가 할인’, ‘최대 ○○%’을 각 유통사의 주요 내용을 담았다. 이번 동행축제는 기업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명목적인 할인을 줄이고 ‘기획전’, ‘연계행사’, ‘홍보지원’ 등의 내용이 들어갔다.
이영 중기부 장관은 지난 18일 브리핑에서 “일주일 동안 내지는 2주일 동안 제품을 팔아서 매출을 많이 올린다는 것이 사실 쉬운 일이 아니다”며 “굉장히 많이 세일에 포커스를 맞추기보다는 프로모션에 포커스를 맞춰야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강조했다.
정부 차원의 할인은 대폭 줄었다. 지난 동행세일은 각 유통업계의 할인 행사 외에도 온누리상품권의 기존 할인율 5%를 10%로 늘려 판매하는 등의 정부 차원의 혜택이 있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침체된 골목상권과 전통시장에 활기를 불어넣겠다는 구상이었다. 이번 행사는 현금 지원 대신 추첨 이벤트가 도입됐다. 이번에 처음 시행되는 상생소비복권과 전통시장 혜택은 소비 기간 내 일정 금액을 사용하면 추첨을 통해 최대 100만 원을 준다는 내용이다. 국민이 전부가 혜택을 누리는 것 대신 ‘복권’이란 아이템으로 소비를 이끌겠다는 것이다.
세일 보단 축제에 맞춰진 이번 행사가 소비자들의 지갑을 열기에는 다소 부족하다는 지적도 존재한다. 국내 소비가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5개월 연속 감소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물가 상승에 따라 소비 심리가 다소 위축된 상황에서 큰 폭의 할인도 진행되지 않는 상황이 소비촉진을 일으키기 어렵다는 것이 소상공인업계 안팎의 의견이다. 소상공인업계 관계자는 “아직 폭우로 인한 수해가 복구되지 않았고 손실보상 이의신청 등 소상공인 관련 해결할 문제가 산적한 상황”이라며 “빈 수레만 요란한 축제가 아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