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결국 '비대위 시즌2'...당헌 고쳐 '비상상황' 규정

입력 2022-08-30 17:1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YONHAP PHOTO-3532> 의원총회 마친 권성동 원내대표 (서울=연합뉴스) 백승렬 기자 =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가 30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를 마친 뒤 원내대표실로 향하고 있다. 2022.8.30 [국회사진기자단] srbaek@yna.co.kr/2022-08-30 16:52:42/<저작권자 ⓒ 1980-2022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여당이 결국 당헌·당규를 개정해 새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리기로 했다. 사퇴요구가 이어진 권성동 원내대표의 비상대책위원장 직무대행 직도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다.

국민의힘은 30일 의원총회를 열어 추석 전 새로운 비상대책위원회 출범을 위해 당헌 96조 등 당헌·당규 개정안을 추인했다.이날 오전 10시30분부터 시작된 의원총회는 당헌·당규 개정안을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오전에 결론을 내지 못해 오후 2시 의총을 재개한 후 오후 4시35분까지 총 4시간 가량 논의가 이어졌다.

박형수·양금희 당 원내대변인은 의원총회를 마친 뒤 기자들을 만나 “오늘 당헌 개정안이 의원총회에서 추인됐다”며 “추인 형식으로 의견을 모으면 상임전국위원회에 상정하기 위해 오늘 의원총회를 거친 것”이라고 밝혔다.

국민의힘은 이날 의원총회에서 격론을 벌인 끝에 선출직 최고위원 5명 중 4명 이상 궐위된 경우 비대위 전환이 가능한 ‘비상상황’으로 규정하는 당헌 개정 문안을 추인했다. 박 원내대변인은 “당헌은 비대위 출범 요건으로 당 대표 궐위 또는 최고위 기능 상실 등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를 비대위로 간다고 한다”며 “최고위 기능 상실이 추상적으로 규정돼 달리 해석할 여지가 있다. 이에 선출직 최고위원 4명 이상 사퇴하면 비대위로 간다고 규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권성동 원내대표에 대한 의원들의 사퇴 요구에 대해선 “사퇴 문제 뿐만 아니라 여러 얘기가 많이 나왔다”며 “이 상황을 수습하고 난 이후에 거취 표명하겠다고 했기 때문에 그 부분을 존중하는 게 옳지 않겠냐는 의견이 많았다”고 전했다. 양 원내대변인도 “의원들 몇 분을 제외하고는 당을 수습하고 난 이후에 거취에 대해 책임지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더 좋다는 의견이 굉장히 많은 다수였다”고 설명했다.

전국위원회 의장인 서병수 의원은 여전히 당헌당규 개정을 위한 전국위 소집을 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당은 서 의장을 설득하는 과정을 거친 후 만약의 경우엔 상임전국위 4분의 1 이상의 설득을 받아내 전국위를 소집할 방안까지 염두에 두고 있다.

박 대변인은 “오늘 오전까지 서 의장 입장이었고 그 이후 의총 결과를 모은 이후 입장 표명은 없었다”며 “당 법률자문위 혹은 기조국에서 의장을 뵙고 상황을 설명드리고 상임전국위에서 의결해줄 것을 부탁드릴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참고로 우리 당헌에는 상임전국위 4분의 1 이상 위원이 소집을 요구하면 한다고 돼 있다. 그 부분도 의장이 충분히 생각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으로 당내 이견이 계속 분출될 수 있는 가능성이 남아있기 때문에 이날 의총에서는 의결 내용과 반대되는 내용을 사회안정망서비스(SNS)에 올리는 것을 지양하자는 말도 나왔다.

윤석열 대통령과 권 원내대표가 지난 27일 의원총회 이후 만났다는 보도에 대해 양 원내대변인은 “확인해줄 수 없다”며 말을 아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